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나노입자의 독성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전문가 제언
○ 일상생활에서 나노물질을 이용하는 제품으로서는 자외선 차단용 선 크림을 비롯한 화장품, 나노은을 이용하는 항균성 의류 및 가전제품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에 포함된 나노물질이 환경과 보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서는 제대로 평가된 적이 없다. 한국산 은나노 세탁기에 대하여 미국과 유럽에서 환경유해성에 관한 시비가 일고 있는데, 이러한 사례도 나노물질이 환경과 보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기법이 아직 없는 까닭이다.

○ 나노물질은 그 크기가 미세하여 같은 소재의 큰 물질과는 물리화학적 성질이 다르다. 석면이 세포막을 뚫고 세포 내로 들어가서 DNA를 변형시켜 발암물질이 되는 것이 그 예다. 2009년 식품의약품안전청 실험에서는 은나노 입자를 90일간 흡입시킨 흰 쥐의 폐 조직에서 육아종성 등의 폐 조직 이상, 염증으로 인한 간세포 부종의 간 조직 이상사례를 보고하고 있다. 나노물질이 환경으로 유출되면 생태계에 살고 있는 생물체를 통하여 먹이사슬에 유입되고 결국은 사람의 체내에 축적될 수도 있다.

○ 나노물질은 그 복합성을 감안하여 나노물질이 미치는 환경유해성에 대하여 환경, 보건, 의학 등의 관련분야가 협동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은 먼저 발생원의 식별과 계량화, 환경에 존재하는 농도, 생체 축적의 위험도 등을 평가하는 기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OECD는 이러한 나노물질의 유해가능성을 인식하고 2006년 OECD 화학위원회에 WPMN(Working Party on Manufactured Nanomaterials)을 만들어 OECD 회원국의 국제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저자
Grazyna Bystrezewska-Piotrowska, Jerzy Golimowski, Pawel L. Urba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29
잡지명
Waste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2587~2595
분석자
길*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