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 풍력에너지 기술 및 설계 개발동향
- 전문가 제언
-
○ 해양풍력에너지는 현재 공공의 지원 하에 개발되고 지속가능한 새로운 에너지원의 하나이다. 장기적으로는 일반 풍력과 같은 조건에서 에너지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설계공학이 이 목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학계와 산업계의 다양한 활동들이 해양풍력발전의 설계와 기술개발에 필요한 지식기반에 공헌했다. 이 논문은 미래연구의 관심분야를 확인하고 학술연구가 설계개선에 공헌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 많은 연구 활동들이 사전 설계문제 해결의 시뮬레이션과 분석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기초지식에 공헌하였다. 이 논문에 검토된 대부분의 설계 관련 연구는 해결 중심이고 상황을 설명하는 지식에 공헌한다. 방법론을 더 강조한 연구는 대부분 최적화방법을 목표로 한다.
○ 기존 지식은 해양풍력에너지 개발에 공헌하는 여러 비동기 설계프로세스 통합의 방법론적 지원에 약하다. 이 논문이 산업체에 이미 존재하는 설계 강점을 강화하기 위하여 학계에서 산업계로 전달될 수 있는 그와 같은 지식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다.
○ 국내에는 해양풍력발전단지의 계통연계를 위한 전압형과 전류형에 대한 HVDC 비교 연구가 있다. 육지와 해양풍력발전단지의 연계는 여러 방식이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HVDC를 이용한 해양풍력발전단지의 연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압형과 전류형 HVDC의 두 가지 방식을 비교분석하여 해양풍력발전단지의 계통 연계에 알맞은 최적의 방식을 도출했다.
○ 우리나라의 해상 풍력발전은 아직 설치 실적이 없다. 전남 신안 앞바다와 제주도 부근에 해양 풍력자원이 풍부하다. 정부 주도로 해양풍력 발전을 포함한 대학원 전문 과정을 개설하여 시스템설계 및 통합설계를 수행할 수 있는 설계 전문 인력을 배양하고, 풍력발전 사업을 발전시키고, 새로운 고용창출을 하여야 한다.
- 저자
- M.B.Zaaijer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12
- 잡지명
- Wind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411~430
- 분석자
- 신*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