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동남아시아 논의 비소오염 방지대책

전문가 제언
○ 전 세계에서 비소오염으로 인하여 가장 피해를 크게 입고 있는 지역은 본 원고에서와 같이 방글라데시를 포함하는 동남아 9개국이다. 방글라데시는 2천만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비소로 오염된 물을 마시고 있다. WHO에 의하면 이와 같은 사실은 인류 역사상 지금까지 보지 못한 최고의 발암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 2006년 서부 벵골의 37가구를 조사한 결과 비소의 일일 섭취량이 WHO 권고 수준을 평균 1.5배 초과하였는데, 이 중에서 50ppb 이상의 비소로 오염된 물을 식수로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WHO 권고 수준의 6.1배를 초과하는 곳도 있었다.

○ 비소의 독성이 강한 형태는 3가 화합물로서 arsenic trioxide, sodium arsenite, arsenic trichloride 등이 있다. 다량을 섭취하게 되면 비소는 소화위장계, 심혈관계, 중추신경계에 급성 독성작용을 일으키고 때로 사망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세포 미토콘드리아의 산화적 인산화(oxidative phosphorylation)작용을 방해함으로써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사람은 유전적 형질에 따라서 무기비소의 체내 대사기능이 달라서 각각 상이한 독성반응을 나타낸다. 체내 엽산의 부족은 무기비소의 독성과 암 발생의 위험을 높인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다. 엽산 부족은 비소의 체외 배출과정을 방해하여 비소가 체내에 축적되도록 한다. 엽산은 체내에 흡수된 비소의 독성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비소로 오염이 된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엽산을 보충하여 줄 필요가 있다.

○ 방글라데시의 먹는 물의 비소기준은 50ppb이며, 우리나라도 환경부가 지정한 먹는 물의 비소기준치는 0.05mg/L(50ppb)이다. WHO와 미국의 기준은 10ppb 이하다. 우리의 경우도 비소 기준을 WHO 수준으로 낮출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한 검토가 요망된다.
저자
Hugh Bramm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35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856~863
분석자
길*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