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캘리포니아 식용포도 IPM

전문가 제언
○ 과거 우리의 농작물 생산은 하늘에 의존하여 왔고 지금도 온실이나 비닐하우스 재배를 제외한 농경에서는 여전하다. 이는 기후환경에 따라 병해충 발생 정도가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으로 야채나 식용과실의 잔류농약 관리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 병해충을 극복하려고 개발한 합성살충 및 살균제는 결국 인간 건강에도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가능한 최소한의 농약만으로 자연 생태계의 교란을 최소화하여 천적과 같은 유용생물을 보호하려는 취지에서 종합 병해충관리(IPM)가 도입되었지만 인구증가에 따른 생산량 증가 요구는 IPM의 지속적인 도전이 요구되고 있다.

?- 2차가공이나 곡물은 박피나 가공공정에서 잔류농약이 분해하거나 제거된다. 식용포도와 같이 소비자 입으로 직접 투여되는 경우는 재배 및 시장유통단계에서 신선도 유지는 물론 잔류농약에 대한 기피현상을 배제하고 유해해충도 제거되어야 한다.

○ 본고는 캘리포니아 대학 협력사업으로 IPM 프로그램에 참여한 Bentley 교수가 San Joaquin Valley 지역의 식용포도 생산에 따른 현재의 방제시스템과 50년 전 Stern 등이 제시하였던 종합 해충관리 개념을 비교분석하고 그간의 발전 상황을 요약하였다.

- Imidacloprid와 같이 완전하지는 않지만 선택성 살충제개발로 유기인계나 유기염소 계열 농약을 대체하여 식용포도 생산에 크게 기여하였으나 이 살충제 또한 인체에 완전히 무해한 것은 아니고 다만 신속한 분해로 잔류성이 적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 우리나라는 맹독성이나 잔류독성이 큰 농약은 1970년대 후반 생산품목을 폐지하고 국제식품규격위원회와 대등하거나 엄격한 잔류농약 허용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것은 매우 고무적인 사안이다. 그러나 외국에서 수입되고 있는 각종 농산물 잔류농약 검사체계는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저자
W.J. Bentley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65
잡지명
Pest Management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298~1304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