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압 다이캐스팅용 마그네슘 합금
- 전문가 제언
-
○ 마그네슘은 비중이 낮고 비강도(단위 중량당 강도)가 커 자동차 경량화에서 연비 향상과 CO2가스 배출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구조설계에는 매우 적합한 재료로 자동차 업계에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 그러나 마그네슘합금은 결정구조가 조밀육방정으로 소성변형이 저면(basal plane) 슬립에 한정되어 상온 가공이 곤란한 점이 있다. 따라서 마그네슘 합금의 이용은 다이캐스팅과 같은 용융가공이 주체가 되고 있으며 특히 고성능 합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 현재 상용화된 다이캐스팅용 Mg 합금 중 대표적인 것은 AZ91D, AM50, AM60 등 Mg?Al계 합금이다. 이들은 가격이 저렴하고 주조성이 좋고 상온에서 응고시 β?Mg17?Al12상을 생성하여 높은 강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자동차나 항공기 부품의 경우 150~200℃의 고온 환경에서 사용되는 β상의 열악한 열안전성은 합금의 크리프 저항성을 저하시킨다.
○ 최근 국내 특허에서도 고온성과 복잡한 부품의 주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희토류원소를 함유시킨 합금에 착안한 것으로 보인다. KIMM에서는 Sr(3~6%), Al(3~10%) 및 Ca을 첨가한 고온 크리프용 마그네슘합금(출원번호 10?2007?0130181), 독일의 Magontec GMBH의 Al 2.0~6.0wt.%, 희토류금속 3.0~8.0wt.% 함유한 고온 크리프 특성과 연성이 우수한 합금(10?2008?7011832)들이 출원되고 있다.
○ 한국은 많은 자동차를 생산하여 해외에 수출하고 있으며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부품은 국산화가 많이 되고 있으나 아직도 마그네슘 부품은 생산에 이루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도 고강도 고성형 마그네슘합금 설계 및 제조기술에 대한 연구가 2007년부터 산학 공동으로 추진되고 있어 그 성과가 기대된다.
- 저자
- CAST CRC LIMITED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86585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8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