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트와 체인 무단변속기(CVT)의 동력 및 제어 고찰
- 전문가 제언
-
○ 지난 20년간 중요한 연구노력이 자동차의 에너지 소비를 줄이기 위하여 변속기 개발 쪽으로 향하였다. 이 노력은 배기가스를 줄이는 법안을 강요하고 현재의 자동차 제작자와 사용자들에 대한 자동차 효율을 증가시키는 환경적 관심의 증대의 직접적인 결과를 유발하였다.
○ 무단변속기(CVT :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는 바람직한 한계사이에서 기어 비(gear ratio)의 변화를 제공하고 그것은 자동차의 운전 계획안에 대한 엔진의 운전 상태를 보다 좋게 조화시킴으로서 연료절약과 자동차의 동적 성능을 강화시킨다.
○ 비록 CVT가 자동차의 연료절약을 향상시키는 방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것의 완전한 잠재성은 자동차 대량생산에서 실현되지 못했다. 이 논문은 CVT의 동적모델링과 한계마찰 제어에 대한 최첨단 연구를 고찰하였다. 기본적 개념, 수학모델 그리고 계산 체계는 광범위하게 논의 되었다. 그러한 CVT의 제어와 모델링에 대한 미래의 연구에 대한 도전과 중요한 이슈 또한 논의 되었다.
? 국내에서는 2차원 구면무단 변속기(2008, 2005),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법 CVT(2007), 2 모드 기계 유압식 CVT(2005), CVT 벨트-풀리의 변속비(2004), 시내버스용 기계 유압식 CVT(2003) 그리고 역방향 토크 시 무단변속기(2002) 등의 형태로 연구?응용되고 있다.
○ 이 논문에서, Honda, Toyota, Ford 그리고 Nissan 등 몇 개의 자동차회사는 자동차생산에서 CVT의 여러 가지 이점을 개발하고 있고, CVT는 미래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대한 보증된 동력전달계(powertrain) 기술로 CVT는 적극적으로 자동변속기와 경쟁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는 바, 국내의 연구에도 이를 적극 참고해야 한다.
- 저자
- Nilabh Srivastava, Imtiaz Haque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44
- 잡지명
- Mechanism and Machine Theor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9~41
- 분석자
- 장*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