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HDL 생합성과 기능- 동맥경화증에서 HDL 질과 양의 역할

전문가 제언
○ 동맥경화증은 내부 동맥벽의 평활근 세포 내에 지방질 침적으로 시작하는 진행성 질환이다. 이 장애는 결국 동맥을 좁히고 막기까지 하는 섬유상의 석회화한 플라크로 된다. 이렇게 하여 생긴 거친 표면은 혈병 형성을 촉진하며 혈병은 또한 동맥을 막는다. 경색이라 하는 혈류정지로 인해 조직은 결국 죽게 된다.

○ 저밀도 지방단백질(LDL)은 혈액에서 말초조직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 주요한 운반체이고 또한 조직에서 콜레스테롤의 신생합성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을 갖는 환자에서 세포의 LDL 수용체가 없거나 부족하여 세포에 흡수되지 못하고 따라서 혈류의 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아진다. 특히 과량의 혈중 LDL은 산화되어 oxLDL로 되는데, 면역계 세포인 대식세포가 oxLDL를 가득 채워서 거품세포를 형성하며 이 거품세포가 혈관 벽에 침적하여 죽상 동맥 플라크를 형성한다.

○ LDL과 달리 고밀도 지방단백질(HDL)은 '좋은 코레스테롤‘이라고도 하는데, 세포에서 혈장 속으로 흘러나온 콜레스테롤을 흡수하여 간으로 운반한다. 이 과정을 역 콜레스테롤 운반(RCT)이라 하며 혈장의 과량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 HDL은 주로 apoA-Ⅰ에 의해 항산화 성질을 나타낸다. apoA-Ⅰ은 LDL의 산화를 방지하며 결과적으로 거품세포의 형성을 억제한다. 이 밖에 HDL은 동화경화증 발병의 주요 요인인 염증을 예방한다. 특히 HDL은 글루코오스 흡수와 지방산 산화를 자극하며 따라서 Ⅱ형 당뇨병 환자에서 동맥경화증의 주요 위험 인자인 인슐린 내성을 억제한다.

○ HDL 농도가 높으면 동맥경화증 위험이 낮고, 낮으면 높은 것으로 알려졌고 실제로 임상에 이용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에 HDL 농도가 낮아도 발병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발견되었다. 그래서 HDL 농도만으로 진단하는 것은 오진할 위험이 있다. 연구결과들은 HDL의 양뿐만 아니라 질도 동맥경화 방지에 중요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요망되는 실정이다.
저자
Erini M. Tsompanid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208
잡지명
Atherosclerosi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3~9
분석자
서*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