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살균제오염 포도원토양

전문가 제언
○ 세계적으로 급속한 인구증가로 인하여 환경과 수자원을 비롯해서 식량문제가 긴급한 현안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한정된 자원을 이용해서 식량을 증산하기 위해 유전자 재조합기술을 포함하는 종자개량과 미생물방제를 위한 친환경농약 개발은 우리나라도 시급한 실정이다.

○ 유전자재조합(GMO) 식량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에는 장기간이 소요되지만 친환경농약의 효능은 단기간에 확인할 수 있으므로 경쟁적으로 친환경농약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 제초, 살균 및 살충제를 포함하는 농약은 그 특성상 미생물을 장시간 방제하여야 하므로 필수적으로 독성과 잔류독성을 보유하여야 하지만,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토양에 농축되어 구제할 대상 이외의 타 토양생태계를 훼손시키는 원인이 된다.

○ 지금까지 토양생태계의 생물지표로는 지렁이를 선정하고 있지만 지렁이는 타 토양생물에 비해 독성에 대한 내성이 탁월하므로 딱정벌레 등을 생물지표로 변경해야 한다는 논의도 탄력을 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지렁이나 담수어종을 이용한 잔류농약 독성을 조사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점은 매우 고무적인 사안이다.

○ 본고는 포도나무에 살포하고 있는 살균제의 피해를 기술하고 있다. 유럽연합에서는 현재 포도원 살균제로 구리를 기반으로 하는 metalaxyl 등 몇 종만을 허용하고 있지만, 구리가 표토에 고농도로 축적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이차오염이 예상되고 있다.

○ 구리는 인체의 피부를 통해 흡수되면 간, 갑상선 또는 신경계통에 농축되어 중독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인간의 보건환경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친환경살균제의 개발이 필요하고, 또 기존 살균제도 사용횟수나 농도를 제한해서 토양 구리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저자
M. Komarek, E. Cadkova, V. Chrastny, F. Bordas, J.C. Bolling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36
잡지명
Environment International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38~151
분석자
이*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