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물 처리 비소폐기물의 처분방법

전문가 제언
○ 비소는 중금속과 같이 맹독성을 지닌 원소로 세계보건기구에서도 음용수의 비소함량을 10㎍/ℓ로 추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소는 양성금속과 유사하게 비산, 아비산과 함께 비화수소(아르신)를 형성하지만 원소상태에서는 액체에서 바로 승화한다.

○ 비소산화물은 3가와 5가가 있지만 3가화합물인 아비산염의 독성이 훨씬 높고 분리하기 어려우므로, 일반적으로 5가인 비산염으로 산화시켜 철, 알루미늄의 수화물과 공침시켜서 제거한다.

○ 그러나 음용수에 미량으로 포함되어 있는 경우 맛을 고려해서 포기에 의한 산화를 거친 뒤에 막으로 여과시켜 음용수로 사용한다. 국내에서는 각종 전자제품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비소와 그 화합물 처리방안이 검토되고, 생활폐기물의 고온 열분해로 친환경 처리방안 등이 제시되고 있지만 수 처리와도 연계할 필요가 있다.

○ 일반적으로 금속화합물이 다른 가연성 폐기물과 혼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감량을 위해 건조 및 연소과정을 거치나, 비소화합물을 연소시키면 비소가 기체로 증발하기 때문에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안정?고형화로 처리하는 방법이 채택하고 있다.

○ 본고에서도 물 처리에서 발생한 비소폐기물을 포틀랜드시멘트, 석회 또는 비산재 등 시멘트 성분으로 안정·고형방법을 제시하고 있고, 아비산화물인 경우에는 산화시켜야 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또한 비소화합물을 칼슘 또는 알루미늄화합물 입자로 캡슐화해서 비소의 용해도를 저감하고 있다고 한다.

○ 이러한 이론과는 다르게 시멘트 화합물에서는 에트린가이트와 칼루마이트라는 결정 속에 중금속 또는 비산염을 고정시킨다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최근에 대기 중의 NOx, SOx 등 산성 물질에 의한 산성비 때문에 이렇게 안정 또는 고형물질이 재용출하므로, 시멘트성분 이외 철 또는 알루미늄 염을 추가해서 완충작용에 의한 pH 변동을 저지해 재용출을 방지하는 방법으로 변경해야 한다.
저자
C. Sullivan, M. Tyrer, C.R. Cheeseman, N.J.D. Graham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0
권(호)
408
잡지명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770~1778
분석자
이*춘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