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효를 이용한 수소 생산: 원리, 발전 및 전망
- 전문가 제언
-
○ 암발효(dark fermentation)에 의한 수소생산은 여러 가지 이유에서 재생 가능한 수소생산을 위한 매력 있는 기술이다. 수소생산 대사 경로는 잘 이해되고 있다. 순수한 혹은 폐기물 기질을 발효하는 과정에서 수소 수율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인자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집중되어 왔다. 필요한 반응기는 설계가 비교적 간단하고 이미 잘 알려지고 널리 사용되는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적어도 이용 초기에는 쉽게 구할 수 있는 폐기물들을 기질로써 사용할 수 있다.
○ 우리나라의 생물학적 수소생산 연구는 주로 1990년대 초부터 국책 연구사업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21세기 프론티어사업의 하나로써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고효율 수소에너지 제조?저장?이용기술개발사업단)을 중심으로 개발되었다.
○ 현재는 4개년 연구 과제로서 1, 2단계(2003~2006 및 2006~2009)에서의 연구 결과를 활용, 연계해서 기술의 완성도를 높이고 상용화에 근접하는 실증연구가 진행 중이다. 다양한 유기성 폐자원을 이용하며 수소생산 효율을 높이고 혐기발효 후 발생하는 유기산을 포함한 폐액에 유전자가 개선된 광합성 세균을 적용함으로서 수소생산 공정을 최적화할 계획이다. 개발목표는 폐기물 중 포도당 1몰에서 7몰의 수소를 발생하는 것이다.
○ 이 외에도 생물체를 이용한 수소생산에 관련된 연구는 많은 연구기관에서 수행되고 있다. 이들 연구개발은 유기 폐기물에서 청정에너지인 수소생산과 유기성 폐기물 처리하는 두 가지 목적에 부합하는 연구이기도 하다. 최근 보도된 바 있는 “야생종보다 10배 뛰어난 수소생산균”이 개발될 만큼 국내의 수소생산균 개발은 세계적으로 앞선 것으로 보인다.
○ 다만, 우리 연구개발은 원천기술과 기초기술 연구가 중심이 되고 있으며 일부 해조류 이용 이외에는 음식쓰레기 등 유기폐기물 처리기술 중심으로 개발되고 있다. 빠른 기간 내에 실질적인 수소생산 대형화 기술이 실현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Patrick C. Hallenbeck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09
- 권(호)
- 34(17)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7379~7389
- 분석자
- 이*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