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식이섬유를 이용한 기능성 젤리과자

전문가 제언
○ 식이섬유(食餌纖維)는 사람의 소화효소로는 소화되지 않는 고분자 탄수화물이다. 1970년대 초, 섬유질을 적게 섭취하는 사람에게 대장암·심장병·당뇨병 등 성인병이 많다는 학설이 발표되면서 섬유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조섬유로 분석되지 않는 어떤 탄수화물 성분이 인체에 좋은 영향을 준다는 것이 알려짐에 따라 식이섬유라는 새로운 용어가 나오게 되었다.

○ 식품성분표 상의 조섬유(crude fiber)는 물, 산, 알칼리, 알코올, 에테르에 용해되지 않는 불용성 물질로 인체 내에서 칼로리원으로 이용할 수 없는 탄수화물로 정의하고 있다. 식이섬유란 인간의 소화관이 분비하는 효소에 분해되지 않는 다당류 등 난(難)소화성 성분의 총체를 말한다. 즉 식물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 등과 세포내에 함유된 소화되지 않는 저장 다당류가 포함된다.

○ 우리 몸에 필요한 섬유소의 1일 필요량은 20∼35g(FDA기준)이다. 1일 2,500칼로리를 섭취하는 성인은 약 35g를 먹어야 한다. 비만자도 섬유질을 충분히 섭취하면 영양분의 흡수를 억제하면서 만복감을 주므로 과식을 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너무 많이 섭취하면 대사 작용에 필요한 Ca·Fe·Zn·Cu·Mg 등 무기질의 흡수를 방해하므로 좋지 않다.

○ 식이섬유는 불용성과 수용성으로 구분된다. 불용성 식이섬유는 현미, 보리, 통밀, 콩, 채소, 고구마의 Cellulose, lignin, hemicellulose 등으로 장내에서 부피를 팽창시켜서 원활한 배변으로 변비해소와 다이어트에 좋다. 수용성 식이섬유는 과일, 김, 미역, 다시마 등에 들어있는 Pectin, gums, glucomannan 등 점액성 섬유질로서 혈액에 붙은 노폐물을 흡착 배출시켜 혈압 강하,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효과를 낸다.

○ 식이섬유 관련 연구는 KIPRIS(특허정보검색서비스; www.kipris.or.kr)에서 최근 10년간 한국특허(등록) 1,151건, 글루코만난 48건과, 히드록시타이로졸(hydroxytyrosol; HP)은 12건이 검색되는 등 활발한 편이다. 젤리과자의 젤라틴을 식이섬유로 대체하고 위장장애 개선을 위한 기능성 물질 HP 적용은 새로운 용도개발로 평가할 수 있다.
저자
Lachifarma S.R.L. Laboratorio Chimico Farmaceutico Salentino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WO20090141074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8
분석자
최*욱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