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태양광발전과 전력시스템

전문가 제언
○ 태양광발전은 온실효과 가스배출량의 저감뿐만 아니라 태양전지나 주변기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에너지(전기, 열 등)보다 훨씬 큰 에너지를 산출하는 우수한 발전방식이다. 태양광발전 시스템은 라이프 사이클 중 발전되는 에너지를 투입에너지로 나눈 값인 에너지수지는 높은 편이다.

○ 현재 보급되고 있는 태양광발전 설비의 수명을 20년이라고 할 때 EPT (Energy Payback Time)는 1~3년, EPR(Energy Payback Ratio)은 8~14배(30년인 경우 12~21배)로 예상된다. 최근 실용화된 기술에서도 EPR은 10~30배 정도로 일반 화력발전의 성능(EPR로 6~21배 정도)을 상회하여 향후 태양광발전은 신장될 것으로 전망한다.

○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설비에서 태양광발전 설비용량은 2010년 1월 현재 41.5만㎾이나 2022년에는 1007.7㎿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일본의 태양광발전은 전체 발전소의 설비용량(약 238GW, 2003년)에 비하여 적은 용량(약 1.92GW, 2007년)이나 2020년에 30GW, 2030년에는 50GW를 예상하고 있다.

○ 향후에는 태양광발전이 본격적으로 보급됨에 따라 발전 전력량이 변동되어 전력계통의 전력수급에는 조정이 필요하다. 수급조정 방법에는 화력, 수력, 양수발전 등 기존발전소의 조정능력을 활용하고, 새로운 방식의 전력저장 설비를 활용하여 수요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태양광발전의 도입 시에 균형효과를 포함한 발전특성, 대량도입시의 영향 등에 대하여 해설하였다.

○ 현재 우리는 에너지원의 대부분을 석유나 우라늄 등 화석연료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는 수입가격의 급등이나 국제정세의 변화에 따라 장래의 이용 계획에는 불안정하다. 태양광에너지는 지속적으로 얻어지는 에너지로서 계속하여 개발하면 에너지의 자급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안정공급에도 기여할 것으로 본다.
저자
Kazuhiko OGIMO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전기·전자
연도
2010
권(호)
93(3)
잡지명
電子情報通信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전기·전자
페이지
217~221
분석자
유*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