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분포와 수송의 최적화를 고려한 바이오매스 혼소시시템 설계
- 전문가 제언
-
○ 우리나라 국회는 2010년 3월 ‘RPS 도입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촉진법 개정안’이라는 주목할 만한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안의 주요 내용은 ‘설비규모 500㎿ 이상의 발전사업자는 2012년부터 총 발전량의 2%를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해야 하고, 2020년까지는 비중을 10%로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는 일정 규모 이상의 발전사업자로 하여금 자신의 총발전량의 일정 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 전력으로 공급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로 일본은 이미 2002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 RPS의 대상 전원으로는 바이오매스 에너지를 비롯한 태양광, 풍력, 수력, 연료전지, 해양에너지, 지열에너지, 폐기물의 소각열을 변환시킨 에너지, 생활시설의 폐기물을 변환시켜 얻어지는 고체의 연료를 연소 또는 변환시켜 얻어지는 에너지 등으로 정했으며 폐기물가스와 석탄가스화복합발전은 제외시켰다.
○ 우리나라의 발전사업자가 빠른 시일 내에 RPS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부담이 큰 것이 사실이나 현재 미국, 영국, 이탈리아, 스웨덴,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진작부터 시행하고 있어서, 시기를 늦춘다거나 이행 의무 양을 낮출 수 있는 처지의 국제적 상황도 아니다.
○ 따라서 논농사 위주의 농경지를 많이 소유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빠른 시일 내 RPS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이 보고서에서 서술한 일본 Tohoku 지역을 대상으로 한 왕겨와 볏짚 위주의 바이오매스 활용을 통한 RPS 연구사례를 최우선으로 참고할 만하다고 생각한다.
- 저자
- Hitoshi YAMAMOTO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89(1)
- 잡지명
- 日本エネルギ―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42~52
- 분석자
- 조*곤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