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욱 스마트한 그리드의 구축
- 전문가 제언
-
○ 차세대 에너지시스템으로 스마트그리드는 최신 IT기술을 활용하여 전력공급, 수요에 관한 과제에 대응하는 차세대 전력계통이라는 개념이다. 근래 전력공급의 신뢰도 향상, 지구환경문제 등의 관점에서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스마트그리드에 대한 관심은 급속하게 고조되고 있다.
○ 특히 미국에서는 미국재생, 재투자법에서 45억 불을 상회하는 스마트그리드 관련예산을 계상하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EU위원회가 스마트그리드에 관련된 특별전문위원회의 발족 등 구체적인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스마트그리드의 현황과 필요성 및 장래의 기술과제 등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 스마트그리드는 광범한 기술, 사업을 포함한 시스템으로 이들을 상호 연계시키기 위한 룰로서 표준화작업은 중요하다. 미국에서는 이에 관련된 표준화 로드맵을 공표하였으며 일본은 2009년 차세대 에너지시스템에 관련된 국제표준화연구회가 발족되었다.
○ 스마트그리드는 재생가능 에너지 등 분산형 전원의 대규모 도입을 위하여 송배전망과 대규모 전원과의 연계운용 외에 고속통신 네트워크기술 등을 활용하여 분산형 전원, 축전지나 수요자측의 정보를 통합?활용하여 고효율, 고품질, 고신뢰도의 전력공급 시스템의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2009년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이 발족되었으며 2010년 1월에 지식경제부는 스마트그리드 국가 로드맵을 확정 발표하였다. 앞으로 스마트그리드사업 분야에서 수행해야 할 중요한 시스템은 송전계통의 광역감시 제어시스템, 계통용 축전지, 수요측 축전지, 전기자동차, 배전망의 관리 등을 들 수 있으며 또한 이들의 국제표준화를 비롯한 관련분야의 전략적인 검토와 연구가 요망된다.
- 저자
- Akihiko YOKOYA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10
- 권(호)
- 130(3)
- 잡지명
- 電氣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163~167
- 분석자
- 유*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