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밀 위성 측위기술 동향
- 전문가 제언
-
○ 오늘날 위치정보를 위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GPS는 차량의 내비게이션, 휴대폰 등에서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GPS는 위성측위 시스템(GNSS : Global Navigation System)의 일종이다. 본고에서는 위성을 이용한 고정밀 위성측위 기술의 현황, GNSS 동향과 그 응용성 등을 중심으로 고정밀 위성 측위기술 동향을 고찰하였다.
○ GNSS는 정보사회에서 지리정보, 위치정보 등을 활용한 국가 사회의 필수적 인프라라 할 수 있다. 일반 시민이 이용하는 GPS 단말기에 의한 위치측정 기술은 10~20m의 오차를 포함하지만, 오차를 경감시키는 각종 오차보정 기술이 개발되어 고정밀 위치측정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로 응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 위성 측위시스템은 다수의 항법용 위성이 불특정 다수를 향하여 전파를 송신함으로써 이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시스템이다. 위성 측위시스템은 항법위성 그룹과 이를 관제하는 지상국으로 구성된다. 이 위성 측위시스템을 보유함으로써 국민생활의 편리성 향상, 장기적으로는 재해로부터의 안전보장 등에 기여하게 된다.
○ 최근 우주 태양광발전 위성은 기존의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수단으로 강력한 후보기술로 주목을 받고 있다. 환경오염을 발생시키지 않는 새로운 에너지 시스템으로 환경보호를 위한 최신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환경보호를 위한 위성기술은 위성의 이용측면과 개발측면에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2004년에 높은 신뢰도를 갖는 고속 반송파 DGPS 정밀 측위기법을 개발한 연구를 비롯하여 다수의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했다.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우주개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 앞으로의 전망이 밝은 실정이다.
- 저자
- Sumio Usu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9
- 권(호)
- 92(9)
- 잡지명
- 電子情報通信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768~774
- 분석자
- 장*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