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안보의 개념화와 다의적 본질의 명확화
- 전문가 제언
-
○ 값싼 에너지 공급으로 우리나라 산업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해온 에너지 수급 방법을 재검토하여 장기적 에너지 안보의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기후 변화 협약, 고유가 등 국제 환경의 변화에 따른 에너지 안보에 대한 국민적 대응 자세의 혁신적인 변화가 요구된다.
○ 재생가능 에너지 개발, 전기 자동차 개발, 수소 에너지 개발 등 국내에서 개발할 수 있는 에너지원 확보에 대한 계획, 에너지원 저장과 최종 사용자에게 공급 방법 등 효율적 에너지 관리의 종합적 대책 수립으로 에너지 공급 체제의 취약성 극복 및 보완, 에너지 수요공급의 위험성을 최소화하고 우리나라의 이익을 최대한으로 이끌어 내는 노력이 필요하다.
○ 국제적으로 중국과 일본의 에너지 확보에 대한 갈등, 미국과 중국의 갈등, 미국과 이라크 전쟁, 중국의 대중동 접근 등 에너지 확보에 따른 국가 간 이해관계로 재편성되는 소리 없는 전쟁이 진행 중이다. 수요 에너지의 97%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는 국제적인 에너지 동향에 따라 큰 영향을 받고 있음으로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지역, 에너지원, 기술 등으로 구분하여 장기적 확보 방안을 수립하고 이행하여야 한다.
○ 국가의 산업 발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에너지 안보에 대한 종합적 전담 기구의 창설로 주요 에너지원인 화석 연료, 원자력, 재생가능 에너지, 독도의 하이트레이드 개발 등에 관한 종합적으로 장기적인 에너지 수급의 로드맵을 작성하고 정책적 토론을 통하여 에너지 안보의 용어를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 저자
- Lynne Cheste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38
- 잡지명
- Energy Polic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887~895
- 분석자
- 김*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