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신경 활동과 식품의 기능
- 전문가 제언
-
○ 심박변동(Heart Rate Variability)은 교감 및 부교감신경의 균형 상태를 평가하는 신뢰성과 재현성이 높은 비침습적인 자율신경 기능평가 방법으로서 심장주기(R-R interval)의 시간적 변동을 측정?정량화한 것으로서 심박변동의 변화는 자율신경의 활성도를 대변하는 지표이다.
○ 자율신경 정량화로 인하여 각종 비만관련 유전자 다형과 자율신경 활동에 관한사항, 운동의 항압효과, 비만갈증 메커니즘 규명에 응용하고 있으며 여성의 갱년기 장해와 월경 전 증후군의 발현에 관한 자율신경 활동 동태와 부정형 신체증후군에 심박변동법이 응용되고 있다.
○ 세사민은 갱년기 장해증상을 갖은 여성들에게서 교감 및 부교감신경의 항진과 혈압의 정상화와 혈관탄성이 유의적으로 개선이 되고 과격한 운동에 의한 활성산소의 해를 억제하는 강력한 항산화제이고 끽연에 의한 심박수의 증가와 심장교감신경 활동지표와 부교감신경 활동의 현저한 저하가 알려져 있다.
○ 카페인은 운동중 지질산화의 항진을 가져오는 유용한 식품 성분이고 캡사이신은 부신의 아드레날린 분비와 탈공역단백질 유도에 의한 에너지 대사 항진작용 및 소아의 열산생을 증가시켜 만복감 유지 작용을 가져오는 기능성 식품으로 각광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 최근 고지방식이 카테콜아민(catecholamine)분비를 항진시키고 심장의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감수성을 항진시키며 심장의 재분극 시간을 지연시켜 돌연사의 원인이 되는 QT간격 지연을 가져오는 것은 비만에 대한 두려움을 일부나마 해소할 것으로 생각된다.
○ 건강증진 목적으로 섭취하는 식품인 참깨, 고추, 커피 등의 특이성분이 자율신경에 미치는 영향을 활용하여 마라톤이나 수영선수들의 체력조절에 이용하고 레몬이나 그레이프프르트 등의 향기성분은 교감신경을 흥분시켜 지방분해와 열을 발산시키는 기능성 성질을 이용하여 항비만 치료 효과가 기대된다.
- 저자
- Toshio Moritan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09
- 권(호)
- 29(4)
- 잡지명
- 食品加工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159~163
- 분석자
- 신*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