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환경부하 저감형 프리코트강판의 진보

전문가 제언
○ 유럽 규제로 대표되는 전기?전자기기의 폐기에 관한 WEEE법령의 발효(2003년)와 전기?전자기기에 함유되는 Hg, Cd, Pb, 6가 Cr 등과 같은 특정한 유해물질의 사용을 금지하는 RoHS법령의 발효(2006)를 계기로 하여 도금강판 분야에서는 환경규제에 대응하는 기술개발이 필요불가결한 과제로 되고 있다.

○ 가전제품에는 방청성을 위하여 6가 크롬을 함유하는 크로메이팅 처리 아연도금강판이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1980년 경 부터는 가전제품의 고도화에 따라 크로메이팅 피막에 유기피막을 형성한 내지문성 강판, 프레스성형 윤활강판, 사용자의 도장 생략이 가능한 프리코트강판(PC강판)과 같은 고기능성 강판이 개발되어 왔다.

○ PC강판은 아연도금층 위에 화성처리로 크로메이팅을 실시한 후 프라이머 도막을 형성시켜 제조하여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유해물질인 6가 크롬을 함유하지 않는 크로메이팅 프리 PC강판으로 에치렌, 에폭시, 우레탄 등과 같은 유기계 수지 복합피막이나 Ti, V, 인산 등을 이용하는 무기계 복합피막을 형성한 PC강판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환경부하물질의 배출을 적극적으로 억제하고 있다.

○ 또한 PC강판 분야에서는 에너지 절약형 강판으로 냉방효율을 증가시키는 열차폐성 PC강판, 전자기기의 발열을 흡수하는 흡열성 PC강판, 전자파 장애에 대응하는 전자파 차폐성 PC강판, 포름알데히드를 저감시킨 강판도료의 개발 등이 이루어져 종래의 유해물질의 배출억제에 더하여 기능성을 부가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 국내의 경우에도 폴리에스터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부착시킨 칼라강판이 건축 내장재나 패널용으로 많이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주로 내식성과 미장성을 중시하는 제품으로 환경부하를 고려하는 PC강판의 개발은 소극적인 형편이다. 우리나라는 PC강판을 사용하는 가전제품의 수요와 수출이 큰 만큼 국제환경규제의 만족뿐만 아니라 친환경에 기여하는 고기능성 PC강판의 개발에도 주력해야 할 것이다.
저자
Kohei Ued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14(12)
잡지명
ふぇらむ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826~831
분석자
심*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