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인도 석탄부문의 지속가능한 개발

전문가 제언
○ 인도의 석탄 매장량은 미국, 러시아, 중국, 호주에 이어 5위로 세계 매장량의 5.2%인 440억 톤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가채매장량 1.3억 톤의 330배를 상회한다. 연간 생산과 소비에 있어서는 약 5억 톤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생산량 130만 톤의 384배를 상회하고 소비량의 경우도 우리나라 소비량 6,610만 톤의 7배를 상회한다.

○ 인도의 석탄발전 전력수요의 급증에 따라 자국 석탄광 개발에 박차를 가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 석탄개발과 사용으로 야기되는 사회적 환경적 영향이 지대할 것이다. 여기에 우리의 개발경험과 이용기술, 에너지절약기술 그리고 폐광 후의 광해복원기술, 수질관리, 지반침하 방지기술 등을 공유할 필요가 있으며 신규 탄전 개발에 우리 기업과 인도 기업의 공동 개발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 인도의 지속가능한 석탄개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사회적 환경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법제정을 추진하고 있다. 지역사회와 이주민 등 이해관계자와의 컨센서스를 도출하여 법적 제도적 장치를 어떻게 마련하는지를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 우리 기업이 진출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제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 인도는 발전용 석탄수요 급증으로 자국의 석탄생산으로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여 발전용 석탄수입이 서서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해외 석탄 개발에의 진출을 모색하게 될 것이다. 이외의 대안으로 원자력발전을 확대시킬 가능성도 있다. 이에 대비한 우리 기업의 참여 방안을 사전에 준비하는 자세가 바람직하다.

○ 한-인도 포괄적 경제 동반자협정(CEPA: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에 따라 인도는 거대하고 중요한 새로운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어서 에너지 자원으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인도의 석탄자원에 대한 이해는 다양한 분야의 시장에 진출하는 우리나라 기업에 참고가 될 것이다.
저자
Ananth P. Chikkatur, Ambuj D. Sagar, T.L. Sanka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34
잡지명
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942~953
분석자
김*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