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VS-비디오 부호화 표준[중국 표준] 개요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에서는 비디오 부호화를 위한 중국표준(AVS-비디오 부호화 표준)의 개요가 정리되어 있다. 이 표준은 2003년도에 발표된 국제표준인 H.264/AVC를 근간으로 하고 있으나, 실제적 응용을 위해 부호화 성능과 부호기 및 복호기의 복잡도를 고려하여 여러 가지 기법이 단순화되고 개선되었다. 이 AVS 표준은 특히 부호화 기법의 지적소유권(IPR) 비용을 포함한 최저 구현비용과 최적성능을 목표로 한 표준이라 할 수 있다.
○ 특정 응용을 위한 부호화 프로파일은 2006년에 완성된 기준형(base profile) 이외에 모바일용 기본형(basic profile), 감시용 확장형(extended profile), 엔터테인먼트용 보강형(enhanced profile) 등으로 세분되었다. 상업방송과 저장 미디어를 주목적으로 한 기준형에서도 8×8 블록 단위의 화면 내 예측, 정수변환과 고정식 양자화, 2D-VLC 등으로 부호화 기법이 단순화되었다.
○ 보강형 프로파일에서 사용되는 보강형 산술부호화(EAC : Enhanced Arithmetic Coding)의 계산 복잡도는 H.264/AVC 표준의 CABAC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부호화보다도 낮도록 개선되었다. 반면에 기본형 프로파일은 4×4 예측 및 변환과 고정식 양자화로 단순화 되었다.
○ 우리나라 비디오 부호화 방식에서도 단순히 포괄적인 국제표준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모바일, 감시용, 방송용, 스트리밍용 등의 응용 분야 별로 산업표준을 만들 필요가 있다. 이렇게 응용 분야별로 전문화된 국내표준을 제정함으로써 선진 부호화 기술의 응용이 크게 활성화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에 따라 중국의 AVS-비디오 표준이 좋은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저자
- Lu Yu, Sijia Chen, Jianpeng Wang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09
- 권(호)
- 24(4)
- 잡지명
- Signal Processing: Image Communicatio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247~262
- 분석자
- 김*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