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소결부품의 로스제로 기술개발과 응용

전문가 제언
○ 금속재료를 부품화하는 제조공법은 단조, 주조, 분말야금법 등이 있다. 이 중에서 분말야금법의 제조공정은 일반적으로 분체를 기계식 프레스로 성형하여 소결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이 공법은 다른 공법에 비해서 생산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금속재료뿐만 아니라 세라믹스를 제조할 때도 가장 보편화된 방법이다.

○ 반면에 분말야금법은 타 공법에 비해서 공정 내의 품질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분체를 원료로 사용하여 소결을 거치는 과정에서 매우 민감한 상변화가 일어난다. 이 과정에서 가장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균열의 발생을 억제하고 치수 정밀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발생시키는 요인은 분말야금의 전 공정에 잠재되어 있다.

○ 특히 자동차용 부품의 경우, 균열 불량품이 미연에 발견되지 않고 자동차 조립에 사용되면 운전자에게 치명적인 위험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관련 산업체는 소결품의 균열과 치수 불량을 줄이기 위한 품질개선 활동에 많은 노력과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여기서 얻은 기술은 자사의 노하우(know-how)로 간주하고 외부에 거의 공개하지 않는다.

○ 본 논문은 토요타자동차(주)에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그 내용을 발표한 것이다. 이것은 주로 성형공정에서 이상적인 성형체를 얻을 수 있는 기본적인 대책을 공개했으나 실질적인 노하우는 역시 감추어져 있다. 그러나 문제 해결방법을 찾기 위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기술을 바탕으로 접근한 점은 높이 살만하다.

○ 이와 관련한 우리나라의 산업체 내부의 품질개선 활동이 논문으로 공개되지 않아서 파악할 수는 없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부분에서 경험과 숙련에 의존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우리나라 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려면 현장의 요소기술에 과학적이고 기술적인 투자가 더욱 필요하다.
저자
Shigehide Takemo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56(6)
잡지명
粉體およぴ粉末冶金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06~312
분석자
허*도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