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도성 고분자 폴리아닐린

전문가 제언
○ 전기를 통하는 고유한 성질을 가진 전도성 고분자의 대표로 폴리아세틸렌이 있다. 폴리아세틸렌과 같이 벤젠 고리의 파이(π) 전자와 같이 원자 간에 국재화하는 것이 아니고 주쇄 상을 자유로이 움직여 돌아다닐 수 있는 전자를 갖는 고분자는 전류를 운반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수단으로서 존재하는 것으로 전도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고유한 성질로서 전도성을 나타내는 고분자에 대해서는 폴리아세틸렌을 시작으로 방향족계를 중심으로 여러 가지 전도성 고분자가 합성되고 있다.

○ 전도성 고분자의 실용화에 대해서는 폴리아세틸렌을 중심으로 일찍부터 각종 응용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폴리아세틸렌의 경우는 공액 이중결합이 공기 산화를 받기 쉬워 불안정하기 때문에 실용화까지는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방향족 계열의 전도성 고분자인 폴리티오펜, 폴리피롤, 폴리아닐린 등은 공기 산화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여 전도성의 경시 변화가 작아 보다 실용화에 적합한 재료로서 이미 실용화되어 시장에 나오고 있다.

○ 1960년 최초로 원천 전도성 고분자(Intrinsically Conducting Polymer; ICP)가 발견된 이래 ICP의 흥미로운 특성과 수많은 응용 가능성으로 인해 매력적인 연구 주제가 되었다. 현존하는 ICP 가운데 가장 유망한 것은 폴리아닐린(polyaniline; PANI)이다. PANI는 합성, 값싼 단량체 가격, 특성 조절, 안정성 면에서 다른 ICP와 비교하여 유리한 점이 많다. 한국에서도 전북대 이중희 교수 등 산학연에서 활발히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 PANI는 전기, 전자, 열전기, 전기화학, 전자기, 전기기계, 전자 형광, 전자 레올로지, 화학, 멤브레인,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PANI가 갖고 있는 특성 때문이다. PANI의 주요 특성으로는 본질적인 전도성, 전계 하에서의 용액 점도 증가, 기체나 액체 상태에서 산이나 염기에 노출됨에 따른 전기 전도나나 색상의 변화, 산화상태의 용이한 변환, 아주 높은 커패시턴스 값, 여러 산화 상태에 따른 부피 변화, 여러 가지 여기 상태에 따른 색상 발현 성능 등을 들 수 있다.
저자
Kamamoto Koshiwa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45(2)
잡지명
加工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12
분석자
이*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