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스트 예방을 위한 식물 생산 백신
- 전문가 제언
-
○ 페스트균은 인류 역사에서 가장 처참한 질병을 초래한 세균으로서 과거 일본 및 구소련에서 생물무기로 연구 개발된 사례가 있다. 공기 중 전파가 가능하고 사망률이 매우 높은 페스트균은 과거의 질병이 재출현하고 생명과학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현 실정에서 생물학전 또는 바이오테러에 사용될 우려가 크다.
○ 병원균과 같은 작용제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조기 진단 및 탐지 체제와 예방 대책이 확립되어야만 한다. 그 중에서 질병의 차단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예방 백신으로서 페스트를 비롯한 대부분의 백신 개발은 유전자 재조합 기술이 적용된 제2세대 백신을 목적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도 대부분 생물학작용제에 대한 백신 개발 전략은 유전공학 기술을 최대한 이용하는데 있다. 그러나 식물을 이용한 백신 개발은 넘어야 할 벽이 많아 실용화에는 많은 시일이 요구될 것이다.
○ 세계 5대 백신업체가 세계 전체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국내의 백신 연구개발과 생산은 취약한 실정으로 백신 23종 중 국내에서 원액 생산이 가능한 것은 현재 8종에 불과하다. 특히 페스트균과 같은 생물학작용제에 대한 백신 개발은 일부 연구기관 외에는 거의 수행되지 않고 있어 정부 차원에서의 적극적 지원이 시급하다. 백신 개발과 관련 국내 기초기술 기반은 상당한 수준이나 국내에서 식물을 기반으로 한 백신 연구개발 사례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 페스트균에 대한 백신은 우선적으로 F1 및 V 항원을 기반으로 하고 미생물을 이용한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개발되어야 한다. 식물 유래 백신은 확실히 매력적이나 실용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초 및 응용연구 통하여 몇 가지 장애들을 극복해야만 한다. 장기적으로는 페스트 백신은 유전자 재조합 항원을 기반으로 하여 식물 유래의 백신, DNA 백신, 입자 백신 개발을 목표로 하되 단일 보다는 다중 백신, 주사용보다는 경구용 또는 입자형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아울러 백신 효능을 입증할 대용 생물지표를 개발하고 동물 모델을 확립하여야 한다.
- 저자
- M. Lucrecia Alvarez, Guy A. Cardinea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0
- 권(호)
- 28
- 잡지명
- Biotechnology Advance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84~196
- 분석자
- 차*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