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침습적 태아 혈액산소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전문가 제언
-
○ 근적외선분광법(NIRS : Near Infrared Spectroscopy)은 근적외선(파장 : 650~1000㎚)을 시료(생체조직)에 투사하여 생체를 투과하거나 생체 내에서 반사한 광을 검출하여 비침습적으로 뇌, 근육 및 기타 조직 내의 헤모글로빈의 농도와 산소결합(oxygenation)을 검출할 수 있는 영상기술이다.
○ 현재의 태아 모니터링은 태아 심장박동 모니터링, 초음파, 변형력 시험, 양수천자(amniocentesis), 융모막 융모 샘플 추출(CVS : chorionic villus sampling) 및 태아 혈액샘플 추출을 포함한다. 현재의 태아 모니터링 방법은 간접적이고, 고감도가 아니며, 정보손실기간에 측정할 수 없는 간혈성을 갖고 있으므로 임상에 한계가 있다.
○ 이런 문제점 해결을 위하여 이 발명에서는 자궁 위나 자궁 내에 설치한 프로브 센서와 이와 결합된 NIRS 디바이스(혈액산소농도계)를 사용하여 비침습적으로 태아 혈액산소 포화를 측정,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과 방법을 개발하였다.
○ 현재까지 NIRS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태반의 산소포화를 측정할 수 없으며, 태반의 산소포화를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태아에 공급되는 산소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다. 이런 기술은 태아임신 중 태아에게 태반산소공급을 신속하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기위한 간단하고 유용한 방법이며 태아의 건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적 방법으로서 앞으로 임상에서 많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국내에서는 1993∼2000년에 명지대, 경상대, 충남대 등에서 펄스 산소농도계를 개발하여 혈액의 헤모글로빈 농도, 산소포화도의 측정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삼성전자는 2001년에 “헤모글로빈 농도와 포화도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를 한국특허(출원번호 10-2001-0021124)로 출원한바 있다. 그러나 NIRS를 이용한 태아 혈액산소 포화를 측정, 모니터링 하는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므로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를 수행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WO20090032168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19
- 분석자
- 이*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