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정인산 칼슘 바이오세라믹스 개관

전문가 제언
○ 인체 조직을 대신하는 인공 장기가 신체 각 부분에 적용되고 있는데, 인공 장기 재료의 표면에 혈액의 여러 단백질이 부착되어 혈전이 생겨 심근경색 또는 뇌 혈전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생체적합 재료(또는 생체재료)는 생체에 넣어 두어도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생체 기관의 일부로 생체화하거나 생체 조직과 직접 접촉하여 기능을 나타내는 인공 장기에 쓰는 상호작용 재료다.

○ 바이오세라믹스는 생체의 일부분을 대체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세라믹으로 생체용 세라믹이라고도 한다. 바이오세라믹스는 신체 내에서 독성이나 발암성 등이 없어야 하며 생체조직과 친화성이 있어야 하고, 주위의 조직들과 강하게 결합할 수 있어야 한다. 정인산 칼슘 기반의 바이오세라믹스는 치주, 뼈 결함 및 골절 치료와 관절 대체, 머리뼈와 턱 얼굴 재건, 척추 수술 및 정형외과술 등에 쓰인다.

○ COPB(Calcium Orthophosphate Bioceramics)를 만들 때는 뼈대의 밀도, 기공도, 화학 조성 및 강도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소결 단계가 매우 중요하다. COPB는 실제 뼈에 비하여 기계적 강도가 많이 떨어지기 때문에 직접 뼈를 대체할 수는 없으나 분말, 입자, 자가 정착 시멘트, 삽입물 코팅제 등의 여러 형태로 새로 형성된 뼈 조직에 세포 식종, 분화 및 조립을 유도하는 물리 화학적 계기를 마련한다.

○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대학 연구소에서 바이오세라믹스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바이오세라믹스를 쓰는 각종 건강 케어 상품들이 시중에 나와 있다. 뼈 세포를 이용한 세포 실험과 동물 실험에서 거부 반응을 전혀 나타내지 않는 COPB의 하나인 HA 바이오세라믹스 생체 활성 인공 뼈가 개발되어 특허를 받고 상용화 단계에 있다.

○ COPB 분야에서 신체조직의 기능 복구를 고려하면 재료과학, 생물학 및 의학의 합류점에서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작점에 있다. 앞으로 특정 환자의 질병 상태에 맞출 수 있는 유전자 활성화 COP 기반의 뼈대를 설계할 수 있어야 하겠다.
저자
Sergey V. Dorozhki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31
잡지명
Bio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465~1485
분석자
김*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