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위성통신의 새로운 환경적응

전문가 제언
○ 위성통신 사업자들은 통신시장의 변화와 진화에 따라 위성통신에 비해 경쟁력이 우수한 지상통신망과 경쟁이나 보완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융통성이 있는 통신위성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지상망이나 우주방위산업 분야에서 개발된 새로운 첨단기술이 위성체나 지상 위성장비 분야에도 곧 적용이 되어 차세대 통신위성의 성능과 융통성이 한층 좋아질 전망이다.

○ 대용량의 광통신 전송장비의 보급과 해저 광케이블의 확산은 위성통신의 입지를 한층 줄이고 있다. 국내 KT의 경우 현재 금산과 보은 두 곳에 국제 위성통신지구국을 운용하고 있지만 순수 통신용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곤 거의 없으며, 실제의 경우 광통신망의 구성이 곤란한 실시간 스포츠 중계가 주를 이루고 있다. 국내 무궁화위성의 경우도 스카이라이프의 TV방송 등 영상전송이 주를 이루고 있다.

○ 현재 전체 통신시장에서 위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년 감소하고 있고 위성통신장비 시장도 정체된 상황에서 AAS사에서 차세대 위성탑재체에 대해 활발히 연구하고 있는 것은 아주 고무적인 일이라 할 수 있다. 이 차세대 위성의 개발이 예정대로 진행되면 지상망의 빈자리뿐 아니라 위성통신의 독특한 장점을 살려 지상망과 좋은 보완관계를 이루게 될 것이다.

○ 현재 우리나라가 보유한 통신위성인 무궁화위성 3호와 5호의 탑재체에는 이런 융통성을 갖고 있지 않으며, 내년 발사 예정인 무궁화 위성 6호 역시 실장 계획이 없지만 추후 발사될 위성의 경우 이런 기능이 추가될 가능성이 많다.

○ 위성과 관련한 국내 연구개발은 KAIST의 소형 과학실험위성, KARI의 다목적 실용위성 정도이고, 통신용 위성의 경우 전적으로 외국사에 의존하고 있다. 통신위성은 수요도 적고 수명도 길어 군사용이나 특수한 목적이 아니면 자체개발은 경제성이 없으므로 향후 위성의 발주 시 어떤 기능을 추가할까에 대한 스펙연구가 오히려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저자
Cedric Balty, Jean-DidierGayrard,PatrickAgnieray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9
권(호)
65
잡지명
Acta Astronautica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75~81
분석자
김*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