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작동 형상기억 고분자 복합물
- 전문가 제언
-
○ 형상기억 고분자를 실행기술에 적용 시에 형상기억 효과의 개시를 위한 자극원의 자극-반응 시스템은 큰 의미를 갖는다. 즉 종래의 온도, ?, 전해액 농도와 같은 침습성 자극원에 의한 SMP 시스템보다 전기, 자계, 빛 등의 비침습성 자극의 SMP 시스템이 훨씬 실제적인 기술 적용에 용이하다.
○ 전기 개시형 고분자는 기본적으로 전기장의 반응으로 팽창, 수축 또는 구부려질 수 있다. 따라서 바이오메카닉스, 인공근육 액추에이터, 센서, 에너지 변환, 소음 감쇄, 화학분리, 약물전달 제어 등에 폭넓게 응용할 수 있는 전기 개시형 고분자들이 최근 스마트 물질로서 그 중요성이 크게 주목받게 되었다.
○ 본 논문에서는 언급되지 않았지만, 전형적인 전기감응형 고분자는 고분자전해질(polyelectrolyte) 형태의 히드로겔이 있으며, 이러한 고분자전해질 겔은 전기장에 의해 이방성으로 팽윤 또는 수축 변형하는 특성을 보이며, 이에 관련한 연구도 최근에 발표되었다.
○ 건국대 연구팀은 2004년 처음으로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한 SMP 복합물인 전기 작동 형상기억 고분자를 소개하였다. 종래의 SMP 시스템이 열 자극에 의한 형상기억 효과를 보인 반면에, 전기를 개시 자극으로 하는 SMP 복합물의 장점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기술은 스마트 액추에이터, 소형비행체 등에 응용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 종래의 고성능 소재로서 압전성 세라믹과 형상기억합금(SMA) 등이 있지만, 여러 단점들 때문에 상기 물질들에 의한 새로운 응용에는 상당한 제한이 따랐다. 반면에 SMP는 구조적으로 용이한 가공성, 저가격, 우수한 회복 특성 등 다양한 장점을 많이 갖고 있다. 이 분야에 대한 국내기업 및 연구기관들의 체계적인 기술 분석과 실용화 개발이 향후 더욱 요망된다.
- 저자
- Yanju Liu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69
- 잡지명
-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064~2068
- 분석자
- 나*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