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크 용접기기의 발전 동향과 전망
- 전문가 제언
-
○ 현재 외국에서는 100㎑ 이상에 이르는 고속 출력제어 주파수를 갖는 디지털 인버터 제어식 아크 용접전원이 출현하여, ms 제어에서 μs 제어로 현상제어의 고속화가 실현되었다. 이로써 용접아크의 안정성이 고도로 확보되었으며, 용접 조건의 재현성이 향상되고, 스패터 저감 용접부의 실현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용접기기의 중량경감에 따른 기동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 국내의 아크 용접기기의 생산기술은 용접기기업체들의 영세적인 기술수준에 머물러 있어 현재에도 용접전원의 완벽한 디지털 인버터 제어 기술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 조선?해양, 자동차 산업 등 국내의 용접관련 산업규모는 세계의 최상위권에 진입해 있어 용접의 현장 기술 역시 우리나라가 세계를 리드하는 기술수준에 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용접 기술의 하드웨어적인 용접기기의 생산기술은 외국에 비하여 기술적 격차가 크고 품질 면에서 떨어져 있어 이의 개선이 시급한 현상이다.
○ 금후 제조업기술의 국제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제조업기술의 핵심기반기술인 용접기술의 고도화가 필수적 요소이다. 아크용접기기의 생산 기술 고도화를 위해서는 야금학적 지식, 전기공학적 지식, 아크현상의 물리적 지식, IT 기술 등의 융합적 지식?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그룹의 구성과 기술 개발을 위한 산학연관의 관심과 지원, 그리고 투자가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 저자
- UEYAMA Tomoyuki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78(8)
- 잡지명
- 溶接學會誌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693~708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