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제조업 기술을 혁신하는 레이저 용접

전문가 제언
○ 여러 가지 용접법 중 레이저 용접은 좁고 깊은 용입의 용접이 가능하며 매우 적은 입열 에너지로 용접이 가능하고 또한 고속 용접이 가능하다. 또한 이종(異種)재 접합과 플라스틱과 금속의 접합까지 가능함이 밝혀지고 있다. 그리고 용접공정의 시스템화, 로봇화, 자동화가 용이하여 용접공정에서 지금까지의 아크용접에 비해 정밀성과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용접부의 결함을 최소화하여 용접부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용접법으로 점차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 국내의 제조업에서 용접기능 인력의 고령화와 용접산업에 대한 기피 현상이 심각하다. 따라서 국내의 해양, 조선 산업을 위시한 각종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제조업 기술의 핵심기반기술인 용접공정의 고도화가 필수적이다. 그러므로 앞으로 레이저 용접 및 레이저­아크 하이브리드 용접공정의 대폭적인 확대적용이 제조업에서 필요하다.

○ 레이저 용접이 앞으로 제조업 현장에서 신뢰성 있는 접합기술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인 프로세스 모니터링(In-process monitoring)이나 적응제어기술의 고도화와 접합부의 고속검사 시스템의 개발이 국내에서 더욱 필요하다.

○ 현재 국내에서의 레이저 용접은 자동차산업에서 테일러드 블랭크 (Tailored blank)분야와 조선 조립공정에서 레이저-아크 하이브리드 용접이 부분적으로 실용화되어 있다. 그리고 매년 대한용접접합학회에서 발표되는 논문 중 약 15~20% 정도가 레이저 용접에 관한 연구가 발표되고 있으며 이 중 대부분이 레이저-아크하이브리드 용접에 관한 내용이다. 그러나 일본이나 유럽에 비해 실용화나 연구면에서 매우 미진한 현상에 있어 국내 제조업의 고도화를 위해 레이저 용접분야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
KATAMA Seij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09
권(호)
78(8)
잡지명
溶接學會誌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682~692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