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기법을 이용한 재료과학교육 : 경향과 필요성에 대한 설문조사
- 전문가 제언
-
○ 재료공학의 한 부류인 금속공학의 경우 화학야금의 제철/제강 분야와 물리야금의 재료물성 분야로 분류되는데 화학야금의 경우에는 전산기를 사용한 교육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온 반면 물리야금의 경우에는 원자들의 상호작용이 매우 복잡하고 이해할 수 있는 수식적인 해가 부족하여 계산에 의한 해결보다는 조직을 관찰하면서 특성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연구를 수행하다 보니 전산프로그램을 이용한 연구와 교육이 다른 학문분야에 비하여 덜 활성화된 상태이다.
○ 각종 재료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이론들이 점진적으로 많이 제안 되면서 재료의 물성연구에도 전산응용이 서서히 활성화되고 있으며 CMSE가 전통적인 강의에서 다루거나 혹은 실험실습이 어려운 재료과학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가상실험” 과목으로 이미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머지않은 장래에 우리나라 재료관련 교육에도 CMSE를 조속히 도입하여 학생들 교육과 연구에 혁신을 일으켜야 할 것이다.
○ 우리나라의 경우 공학 분야 특히 재료관련 분야에 선진화된 교육과 연구가 시작된 것이 불과 30여 년 전의 일로서 이 분야의 원로과학자들이 전산교육을 받지 못한 상태인지라 CMSE 교육을 실시하기가 어려운 현실이었다. 다행스러운 것은 최근 이 분야전공 신진학자들의 수가 점진적으로 늘고 있으니 앞으로 이들 전문가들의 역할이 크게 기대된다.
○ 세계 제일의 IT강국답게 우리나라를 산업선진화를 통한 선진국이 조속히 되게 하기 위해서는 미국에서도 소수의 대학에서만 관련교육이 시도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아직 정착되지 않고 있는 우리나라 재료과학분야의 전산응용교육이 대학에서 조속히 활성화되고 이렇게 훈련된 재료 과학자들이 연구현장 및 산업체에 진출하여 국내 산업체에서도 이러한 선진기법을 이용한 연구 및 생산이 활성화됨으로서 모든 산업의 기초가 되는 새로운 첨단신소재 설계와 개발을 통해서 우리나라의 소재산업을 세계적 수준으로 발전시키게 하여야 할 것이다.
- 저자
- K. Thornton, Samanthule Nola, R. Edwin Garcia, and G.B. Olson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09
- 권(호)
- 61(10)
- 잡지명
- JOM Journal of the Minerals, Metals and Materials Societ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2~17
- 분석자
- 남*우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