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의 기하학적 사양에 대한 사고
- 전문가 제언
-
○ 도면상에 치수 공차로만 표기된 도면은 정확한 제품이라 판별하기 힘들기 때문에 제품의 모양이나 위치에 대한 특성을 정확히 규제할 수 없을 때에 이를 규제하기 위해 기하 공차가 사용된다.
○ 부품간의 작동 및 호완성이 중요할 때, 검사방법을 택할 때, 제품제작과 검수의 일괄성을 위한 참조기준이 필요할 때, 표준적인 해석 또는 공차가 미리 암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 글로벌화된 부품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어느 나라의 어떤 경험을 가진 사람이 어떤 기계를 사용해서 가공해도, 최종적으로 같은 품질의 부품이 입수가능하게 해야 한다. 도면에서 공차의 애매함을 배제하는 것이 대전제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밀도가 저하하는 사고를 막을 뿐만 아니라 필요이상의 고 정밀도화에 의한 비용 증대도 억제한다.
○ ISO에서는 글로벌화와 디지털화를 목표로 한 GPS 규격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ISO/GPS 규격은 치수, 형상, 자세, 위치, 곡선 등의 기하특성마다 공차의 정의, 도면지시 방법, 편차의 평가법, 측정 장치의 구성과 요구 사항, 측정 표준 등을 규격으로서 체계화한 것이다.
○ 이상과 같은 기하학적 제품사양에 대한 명확화는 글로벌화 진전에 따른 국내외 공동 개발?제조 사업장의 증가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생산제품의 품질확보와 생산성향상을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기하학적 제품사양에 대한 인식 제고와 함께 규격에 대한 보완?유지가 필요하다.
- 저자
- Kiyoshi Takamasu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61(3)
- 잡지명
- 機械の硏究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317~324
- 분석자
- 임*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