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잡이 정보시스템

전문가 제언
○ 이 기술은 GPS 및 RFID 시스템과 연계한 이동전화를 통한 길안내를, 전파음영지역에서는 Bluetooth나 Wi-Fi 등 로컬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식별 및 음향발생시스템으로 길안내를 받을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음성응답(IVR) 시스템을 통해 이동전화로 음성안내를 제공받음으로써 시각장애인의 편리하게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는 기술적 가치가 있다.

○ 1인당 국민소득이 2만 달러에 근접하고 경제력도 세계 12위권에 들 만큼 성장한 한국의 경우 시각장애인을 위한 현재의 복지시설은 인도의 유도블록, 건널목 교통신호와 연계된 음향신호 등의 기본시설이 거의 전부이다. 미래 u-city 건설 기본계획에는 한국의 우수한 정보통신 인프라를 이 기술과 접목하여 실질적 이용가치가 있는 시설에 대한 도입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이 정보시스템은 시청각신호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어 대형 마트/쇼핑센터/백화점/공공시설/지하철/영화관/대중교통터미널 등 대중시설에서의 층별 및 매장별 판매품목/안내실 위치/매표소 위치/대중교통운행시간 등과 같은 국내 공공서비스 정보 제공 및 고객 서비스차원에서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위치정보에 기반 한 Telematics 기술이 u-city 건설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효과적인 위치정보/길안내 시스템 설계를 위해서는 시?청각장애인/프로그래머/엔지니어/디자이너 등의 공동연구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시?청각장애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인터뷰/사용사례 분석을 통해 실제 사용 가능한 프로토타입을 완성하여 필드 테스트를 거쳐 안전한 정보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지원이 절실하다.

○ 이 기술을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시각장애인의 위치검출을 위한 센싱 모듈, 이동통신네트워크와 편리한 접속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 사용자 인증에 필요한 맵 정보 생성모듈, 노드 간 거리 및 장애물과의 거리정보계산 모듈을 각각 별도로 설계하여 이를 국내 정보통신 인프라를 활용하여 통합 운영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자
UNIVERSIDADE DO PORTO;METRO DO PORTO,S.A.
자료유형
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09
권(호)
WO20100002284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31
분석자
이*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