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TV 기술
- 전문가 제언
-
○ 최근 인터넷 TV 또는 웹 TV 분야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주요 TV 사업자도 인터넷으로 자체 방송을 보내고 있다. 현재 수천 개의 인터넷 TV 채널이 존재하고 있는 실정으로 방송 시장의 패러다임 변화가 예상된다. 인터넷 TV가 활성화 되면 IPTV를 포함한 기존 방송 시스템과는 다른 새로운 시장이 형성 될 것이다.
○ 현재의 인터넷 TV는 YouTube, 곰TV와 같이 인터넷으로 동영상을 PC로 보는 수준에 머물고 있지만, 이 기술을 활용하면 IPTV 수준으로 TV로 인터넷에서 존재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편리하게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이 기술이 좀 더 활성화 되려면 기존 방송과 차별화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정보의 바다라는 인터넷이라는 장점을 살려서 기존 방송에서 제공하는 채널에 비하여 수십 배 많은 채널을 제공하고, 내용면에서 보다 세분화된 채널을 제공한다면 상용화의 가치가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또한 현재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앱스토어” 같은 개념처럼 인터넷 TV 환경에서 소비자가 콘텐츠를 생산하여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콘텐츠 유통인프라 구축 (일명 “미디어콘텐츠스토어”)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인터넷 TV는 일반 인터넷 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발생하는 QoS (Quality of Service) 보장 문제의 개선이 필요하며 기존 방송과 경쟁을 위해서는 양방향 서비스와 실시간서비스의 구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향후 수년 안에 인터넷에 접속하는 장비로 PC보다는 휴대폰, 스마트 폰이 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모바일 환경에 맞도록 이 기술을 개선하여 휴대폰과 스마트폰으로도 인터넷 TV를 볼 수 방법과, 집에 있는 셋톱박스로 다운로드 받은 콘텐츠를 이동 단말기로 보내주는 사이드 로딩 (Side Loading)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WEBTVIEW LTD.
- 자료유형
- 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0
- 권(호)
- WO20100023663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74
- 분석자
- 이*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