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단백질의 라이신 아세칠화에 의한 세포대사의 조절

전문가 제언
○ 단백질의 아세틸화는 인산화 못지않게 중요한 세포의 생리조절에 관여한다는 것이 최근의 연구결과들이다. 이러한 연구는 프로테오믹스 기술의 발전으로 가능하게 되었다.

○ 이것은 해당작용 등 주요 에너지 대사경로에 관련된 효소들의 활성과 안정성을 조절한다. 이러한 사실은 아세틸화와 탈아세틸화에 관련된 효소들을 저해하거나 활성화하는 것을 표적으로 비만, 당뇨 등 대사성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인체와 미생물에서 해당작용, TCA회로, 요소회로, 지방대사, 글리코겐대사 등 주요 에너지 대사과정의 모든 효소들이 아세틸화되어 조절되는 것을 공유한다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 (Science, 327, 2010, 1004~1007)

○ 단백질 N-말단의 아세틸화가 세포내 단백질의 분해 표지라는 새로운 발견은 또 다른 중요한 발견이다.(Science, 327, 2010, 973~977) 이것은 ubiquitination 외에 또 다른 단백질 분해 표지의 신호임을 의미한다.

○ 포도나 불루베리 등 식물에서 발견되는 resveratrol은 이미 심혈관질환, 암 등 여러 가지 질병에 좋다하여 음식물로 섭취하게 되는데 이것은 sir2 family deacetylase(탈아세틸화효소)의 활성화제다.

○ Verinostat는 deacetylase의 저해제로 2006년 FDA승인을 받은 cutaneous T cell lymphoma의 치료제다.

○ 단백질의 아세틸화에 대한 기초연구를 지원하고 acetyl transferase, deacetylase에 대한 활성화제, 저해제를 신약개발의 표적으로 이용하는 연구프로젝트의 확대가 기대된다.
저자
Shimin Zhao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0
권(호)
327
잡지명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1000~1004
분석자
김*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