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장독소 생산 대장균과 그 독소

전문가 제언
○ 대장균(Escherichia coli)은 대장 상재균으로서 일반적으로 병원성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오히려 비타민 A, B1, B2, K, 니코틴산 등을 합성하는 등 여러 가지 유익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었다. 그러나 1927년 Adams에 의해 유유아 설사증과 대장균이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가 된 이후, 대장균 중에는 사람에게 병원성을 나타내는 것이 있다는 사실이 명백해졌다. 이렇게 병원성을 가지는 대장균을 병원성 대장균이라 한다.

○ 병원성 대장균은 유유아에게는 설사증을 일으키며 성인에게는 세균성 식중독을 일으킨다. 병원성 대장균은 장관 상재균이 아니며 경구적으로 외부에서 침입하여 급성 장염 등을 일으킨다.

○ 일반 대장균과 병원성 대장균 사이에는 항원성의 차이가 있는데, 균체를 구성하는 항원성분(균체항원: O항원, 협막항원: K항원, 편모항원: H항원)의 면역학적 특이성에 의해 구별되며, 특정한 혈청형을 나타낸다. 각 대장균에 의한 장염은 임상증상만으로는 구별할 수 없고 혈청형에 의해 결정된다(Kauffmann분류법).

○ 독소원성 대장균(ETEC)은 아직도 개발도상국의 유아에게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있으며 사망률도 높다. 또한 해외여행자의 설사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병원성 대장균에 의한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장 기본적으로 손을 깨끗이 씻는 것, 음식을 반드시 익혀먹는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손만 잘 씻어도 식중독 발생을 대폭 줄일 수 있다

○ ETEC에 대한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ETEC 균 자체의 연구뿐만 아니라 정착인자나 독소에 대한 특성이나 검출법 등의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하며, 그러한 사항을 기초로 하여 백신의 개발에도 노력을 하여야 한다. 최근 국내에서 신종 플루 예방 백신을 개발함으로 해서 신종 플루의 확산 저지에 크게 기여했음을 우리는 경험한 바 있다.
저자
Kenichiro ITO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59(11)
잡지명
食品衛生硏究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3~20
분석자
백*학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