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재난 대응 정부기관 사이에 협동을 위한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분석-SIGAME를 중심으로

전문가 제언
○ 재난관리는 조기 경보, 인명 구조, 이재민 피난 및 이주 대책, 생필품 지원, 의료지원 및 재해복구와 같은 기능적으로 독립적인 다양한 기관들의 적극적이고 조정된 참가를 필요로 하는 일종의 협동 프로세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협동이 간혹 이루지지 않고 있거나 빈약한 정보 공유, 유연하지 않은 통신 흐름 및 조정의 결핍 때문에 축소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IT 기술의 접목이 요구된다.

○ 재난관리 상황에 대한 사례로서는 최근에 발생한 아이티 지진과 칠레 지진을 들 수 있다. 진도 6.7의 아이티 지진 참사의 대응과 진도 8.8의 칠레 지진 참사의 대응을 비교할 때, 지역적 차이와 국력의 차이는 있으나 칠레의 경우가 더 강도가 심각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피해 상황이 아이티보다 적은 사례는 효율적인 재난관리와 적극적인 대응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우리나라도 지진에서는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지적이 있다. 최근의 경우는 2010년 2월 태안에서 진도 3.2, 천안에서 진도 2.3의 지진이 감지되었다. 그 밖에 백령도(2003, 진도 5.0), 울진(2004, 진도 5.2), 평창(2007, 진도 4.8) 등에서 지진이 발생하고 있어서 종합적인 재난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

○ 이 논문은 IT를 이용한 협동과 지휘 체계가 단일화되지 않은 스페인의 재난대응 기관들 사이의 조정, 정보의 공유, 통신체계 및 정보 통신 기술의 채택 등에 대한 분석연구이다. 여기서는 SIGAME라는 스페인 재난관리 시스템의 사례에 대하여 분석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도 재난관리 네트워크 시스템이 존재한다. 이 시스템에는 재난 상황의 전파 관리, 재난 정보의 유통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같은 업무가 있다. 그러나 지진이나 해일과 같은 대규모 재난 사태를 경험하지 않은 우리의 실정에서 대응 능력을 키우기 위한 조기 정보 시스템, 내진설계 등의 사전대책과 재난 발생 후 대응을 위한 IT 기술과 협동시스템의 점검 등이 평소에 마련되어야 한다.
저자
Ignacio Aedo, Paloma Diaz, John M. Carroll, Gregorio Convertino, Mary Beth Rosson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정보통신
연도
2010
권(호)
46
잡지명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정보통신
페이지
11~21
분석자
김*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