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개발 전조기에 의한 나선형 내면기어의 성형
- 전문가 제언
-
○ 기어는 이빨 형상곡선의 창생법에 따라 인벌류트 곡선(involute curve)기어와 사이클로이드 곡선(cycloid curve)기어가 있으며, 인벌류트 곡선 기어는 가공이 간편하고 큰 동력전달이 가능하여 주로 산업용으로 사용하고, 사이클로이드 곡선기어는 정밀한 속도 비를 요구하는 계측기(dail gauge 등)나 시계 등에 사용되며 가공이 까다로운 점이 흠이다.
○ 외면기어는 기어전용기(hobbing machine)나 단조, 압출 등의 방법으로 다량생산을 하지만, 내면기어는 기어셰이퍼, 정밀주조 혹은 분말야금 성형법을 사용한다. 내면기어의 바닥이 막힌 컵 모양에 큰 동력 전달과 높은 회전속도 비에 저소음을 위한 나선형 이빨을 갖는 자동차 변속기용의 내면기어가공은 주로 기어셰이퍼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가공시간이 길고 가공정밀도도 떨어져 후 가공을 요하는 경우가 있어 코스트 상승을 초래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크리멘탈 링 롤링법을 새롭게 개발하였다.
○ 내면기어는 대형인 경우는 굴삭기나 풍력발전기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풍력발전기용은 피치내경이 9m를 넘는 것도 있으며 이들은 회전속도가 느리고 중동력 전달용이므로 대부분 이빨을 부분가공하여 조립형으로 하는 경우가 많으며, 우리나라의 생산회사로는 주식회사 신일정밀(강릉소재)이나, 주식회사 태웅정밀(부산 소재로 피치내경이 9m 정도의 대형)이 있다.
○ 우리나라는 아직 초정밀에 고속회전을 요하는 하모닉 시스템(harmonic system)이나 변속기용의 컵 모양 내면기어가공은 기존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경쟁력이 떨어지는 경향이며, 절삭가공 후 표면경화처리 후의 연삭가공기술은 아직 미 확립단계에 있어 이들의 새로운 가공기술개발이 필요하다.
- 저자
- S. Aoyama, T. Aoyam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50(587)
- 잡지명
- 塑性と加工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102~1106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