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복합재료의 전망
- 전문가 제언
-
○ 전통적인 복합재료의 대안으로 등장한 유기나노복합재료는 전통적인 복합재료와 비교하여 훨씬 가볍고 기계적 성질도 우수하며 난연성과 차단성도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으나, 그 응용분야는 아직까지는 플라스틱 시장에서 틈새시장 정도로 한정되고 있다.
○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나노복합재료의 창의적인 가공기술, 다른 재료와 비교하여 나노복합재료가 갖는 특성이나 가격면의 경쟁성, 그리고 나노복합재료의 (광)산화에 대한 불안정성 등을 해결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가공기술과 안정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해 정리하고 있다.
○ 나노복합재료의 연구동향을 보면 대표적인 기능복합재료로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복합재료가 주로 연구되고 있다. 이는 현재 항공우주 및 군사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며 전기전도성을 갖는 고분자 복합재료로 전자파 차폐 복합재료, 스마트 센싱 및 엑츄에이션 소재 개발을 통한 시스템 응용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나노섬유 제조기술 분야에서 극미세자성입자 기능복합화 기술, 지능형 치유기능나노섬유지지체 연구, 반응/분리 복합기능막 제조 등 많은 분야에서 나노복합재료에 대해 연구되고 있다.
○ 나노복합재료의 응용 및 시장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나노복합재료의 구조-물성기기 규명, 용융상태에서 유변학적 해석, 제조공정 조건 최적화, 양산기술 및 가격 경쟁력 확보, 신규 응용분야의 개발 등 앞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이 남아 있다.
- 저자
- Rudolf Pfaendner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95
- 잡지명
- Polymer Degradation and Stabilit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369~373
- 분석자
- 원*무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