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후변화와 미국의 에너지 안보

전문가 제언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폭설, 혹한, 폭염 같은 이상기상이지구상에서 빈번히 발생하고 기후의 영향으로 최대전력사용의 기록을 갱신하는 등 에너지 수급의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요인이 많아 이에 대한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 2025년경에는 세계 석유생산이 한계에 부딪힐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고, 석유생산량이 줄어들기 시작하는 2015년께부터는 전대미문의 ‘오일쇼크’가 닥칠 것이라는 예상도 설득력 있어 앞으로 5년 후면 바로 다가올 일이기 때문에 시급한 대응책이 요구된다.

○ ‘국토 안보’, ‘식량 안보’, ‘에너지 안보’ 중 어느 한 가지만 무너져도 국가는 존속하기 어려운데 이 중 에너지 안보의 핵심요소는 석유자원의 안정적 확보, 에너지소비의 효율성 증대, 석유가 고갈하기 전 석유를 대체할 새 에너지 개발 등 3가지로 이에 대한 정책이 국민적 동의하에서 적극적인 추진이 필요하다.

○ 대부분의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는 에너지 빈국인 우리나라는 국제 유가의 등락에 따라 국가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국가 안보차원에서 에너지 정책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태양에너지, 풍력에너지 등과 같은 대체에너지 개발에 대한 추진이 시급히 요구되며 지구온난화 주범인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해서도 화석연료발전 대신 원자력발전의 확장정책도 심도 있게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저자
Guri Bang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38
잡지명
Energy Policy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1645~1653
분석자
오*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