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피트산염과 피타제의 식품에서의 역할

전문가 제언
○ 피트산은 화학식 C6H18O24P6, 분자량은 660.03으로 이노시톨에 6개의 인산이 에스터결합을 한 형태를 가졌다. 피트산 자체로는 물에 잘 녹으나 금속과 결합하면 불용성의 착염이 되므로 소화흡수가 쉽지 않은 물질이다.

○ 또한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과도 착염을 형성하여 불용성이 되어 소화 흡수에 지장을 초래하므로 비영양적 대사로 알려져 식품에서 이를 줄이려는 시도가 있었다.

○ 또한 성장기의 어린이들에게는 칼슘, 철, 아연 등 필수적인 미네랄의 흡수를 저해하므로 가공식품에 일부러 피타제(phytase)를 첨가하므로 피트산을 줄이거나 킬레이팅을 형성해도 부족하지 않을 만큼의 미네랄을 더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최근의 연구에서 피트산염의 형태인 자연 식이를 하므로 지방산 및 대장암 억제, 항산화, 항암작용 및 신장 담석증 등의 치료제로서의 효과에 대한 보고가 많다.

○ 피타제는 식품 중의 피트산염의 양을 줄이기 위해 개발된 상품이었지만 피트산염의 평가가 달라지므로 조금은 시들한 면이 있다.

○ 산업계에서는 제품의 수율과 흡수율 및 상품성을 향상시키는데 반드시 피타제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예를 들면 Corn wet milling에서 피타제를 이용함으로 수율을 올리고 피트산염으로 인해 각종 미네랄과 영양소가 블로킹됨을 방지하고 사료에 피타제를 사용함으로 사료효율을 올리는 등 유리한 점이 고려되어야 하겠다.

○ 피트산염을 잘 이용하여 서구사회에서 고민하는 각종의 생활습관병과 영양과다에 의한 폐단의 전철을 피해나가는 방법을 찾고 한편으로는 영양을 강화하는 목적으로 피타제를 이용하여 식품을 개발하여 용도에 맞게 사용되었으면 한다.
저자
Vikas Kumar, Amit K. Sinha, Harinder P.S. Makkar, Klaus Becker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0
권(호)
120
잡지명
Food Chemi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945~959
분석자
도*회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