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폴리(2,7-플루오렌), 폴리(2,7-카바졸) 그리고 폴리(2,7-디벤조실롤)유도체를 이용한 광기전력 디바이스와 백색 발광다이오드

전문가 제언
○ 태양전지와 백색 발광다이오드의 응용을 위해 폴리(2,7-플루오렌), 폴리(2,7-카바졸) 그리고 폴리(2,7-디벤조실몰)에 기반을 둔 공액 폴리머의 특성과 합성에 대해 최근의 동향을 보고하였다. 에너지와 에너지-절약 조명기구의 신뢰 있고 값싼 신재생 자원개발의 주요한 방법과 앞으로의 도전을 논의하였다.

○ 폴리플루오렌: 폴리머/염료혼합물은 56000cdm-2의 휘도, 16.3lmW-1의 전력효율; 융합된 염료 폴리머 유도체로부터 발광효율과 외부양자효율을 각각 10.7cdA-1, 5.4%인 디바이스; 혼합물에서 7.54cdA-1의 발광효율, 27000cdm-2인 WPLEDs; 단일성분 유도체에서 17.9cdA-1의 발광효율, 16.3lmW-1의 전력효율 그리고 휘도 9000cdm-2; 또한 태양전지는 Jsc=9.72mAcm-2, Voc=0.99V, FF=57.4 그리고 PCE=5.5%이다.

○ 폴리카바졸을 이용하여 16V 구동전압에서 1395cdm-2의 휘도, 2.07cdA-1의 발광효율의 디바이스, 또한 6.1%의 PCE, 0.02cm2V-1s-1의 정공이동도인 PCs를 얻었다. 폴리디벤조실롤을 이용하여 Jsc=2.80mAcm-2, Voc= 0.97V, FF=0.55 그리고 PCE=1.6%인 태양전지를 얻었다.

○ 국외에서는 2009년 Lee, J.F는 "Efficient WPLEDs based on poly -fluorene end-capped with yellowish-green fluorescent dye and blended with a red phorsphorescent indium complex" 또한 2010년 Liu, Y.P는 "Effect of transporting materials in phosphorescent WPLEDs"를 발표하였다.

○ 국내에서는 광주과학기술원,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등에서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2009년 "Synthesis of water-soluble polyfluorene derivatives and application to organic electronic devices" 또한 2010년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electroluminescence of polyfluorene copolymer containing T-shaped isophorone derivatives"를 발표하였다.

○ 값이 싸고 높은 효율을 가진 폴리머의 광기전력 디바이스와 백색 발광다이오드의 대량생산을 위해 물리학자, 화학자, 전자공학자 그리고 기업이 서로 협력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간절히 요구된다.
저자
Serge Beaupre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22
잡지명
Advanced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6~27
분석자
문*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