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세롤의 연료첨가제 전환에 관한 최신 유망 기술 동향
- 전문가 제언
-
○ 친환경적인 바이오디젤의 생산량이 세계적으로 계속 증가함에 따라 약 10%의 필연적인 부산물인 글리세롤이 과잉 생산 단계에 접어들게 되었다. 최근 수년간 글리세롤의 가격이 급락함에 따라 바이오디젤 사업의 채산성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바이오디젤 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글리세롤의 다양한 용도개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그동안 글리세롤의 가치를 높이는 방안의 하나로 기존의 석유계 연료첨가제를 대체하는 방법이 세계적으로 다양하게 연구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여러 형태의 함산소 바이오성분과, 글리세롤의 연료첨가제 전환에 대한 반응공정을 중심으로 한 다각적인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 우리나라의 신재생 에너지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 바이오디젤 산업의 육성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부산물 글리세롤의 다양한 용도 개발이 해결돼야 할 과제이다. 특히 글리세롤을 연료첨가제로 전환하여 활용할 경우, 환경적 측면에서의 수요 유발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며 바이오디젤의 경제성 개선에도 기여할 것이다. 그 외에도 본고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글리세롤을 식음료용, 의료 및 제약용, 화장품용 등의 높은 부가가치 용도로 전환하는 기술을 적극 개발함으로써 유관 산업의 발전에도 기여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Norhasyimi Rahmat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0
- 권(호)
- 14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987~1000
- 분석자
- 황*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