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충,방전 리튬이온 거동 관찰

전문가 제언
○ 이 자료는 일본의 산업기술종합연구소가 수행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충/방전 리튬이온 거동을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 보고서이다. 국내에서는 한양대학교가 이 분야의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으며 이차전지의 내부구조와 성능 관찰을 하고 있고 미국 ANL연구소 등과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우리나라의 기업체로는 LG화학, 삼성SDI, Kokam Engineering, SK에너지 등이 환경친화형 자동차에 탑재할 수 있는 고용량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양산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리튬이온 전지의 성능 향상에는 양극 및 음극소재와 전해질 등의 성능 향상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나노규모의 구조와 거동 및 성능 특성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 이차전지에 대한 나노크기의 거동과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결과를 발표한 일본의 산업기술종합연구소와 같이 분석전자현미경 등을 포함한 기초 실험 장치를 구비해야 하며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나노소재를 개발하며 나노규모의 현상을 이해할 수 있는 역량을 비약적으로 높여야 할 것이다.

○ 일본 정부는 22개 연구소/기업/대학을 참여시켜 리튬이온 이차전지 개발을 위한 협력체제를 구축하였으며 혁신형 이차전지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미국의 국립연구소들도 리튬이온 전지를 개발하기 위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 우리나라도 한국원자력연구원, 포항가속기연구소 및 광주과학원 등의 레이저 및 관련 연구시설을 활용하여 공동연구를 수행하는 협력연구 프로젝트를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국가적 프로젝트에 기업의 연구자들을 참여시켜야 할 것이다.

○ 코발트 free 양극소재의 연구개발 현황에 대해서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2009년도 Reseat 프로그램이 수행한 기술동향분석보고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자동차용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자세하게 소개되어 있으며 국내의 관련 분야에서 참고할 수 있다.
저자
J. Kikkawa,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09
권(호)
63(9)
잡지명
自動車技術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92~97
분석자
조*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