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수력터빈 내 캐비테이션의 연구동향

전문가 제언
○ 캐비테이션의 발생 기구는 다음과 같다. 터빈의 어떤 부분의 압력이 증발압력 이하로 떨어지면 액체는 비등하고 많은 기포를 발생한다. 저압에서 발생한 이들 기포는 유동에 의해 고압영역으로 운반되어 응축되고 붕괴된다. 그 결과 공동이 형성되고 주위 액체가 그 곳으로 급속히 흘러들어가 고압을 형성한다. 캐비티와 고압의 형성이 1초 동안 수천 번 반복하면서 캐비테이션 피팅이 발생한다.

○ 수력터빈의 캐비테이션을 예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수력터빈의 파라미터를 유동정압력의 어떤 점에서 액체의 증기압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설정한다. 캐비테이션을 제어하는 파라미터는 압력수두, 유량 및 액체의 출구압력이다. 수력터빈의 캐비테이션이 없도록 하는 제어 파라미터는 모델의 시험에서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캐비테이션이 없도록 하는 제어 파라미터의 설정은 그리 쉽지 않다.

○ 또한 배출관내 터빈의 출구에서의 유동박리는 배출관에 진동을 일으킬 수 있다. 진동을 완화하고 안정시키기 위해 배출관내에 공기를 분사시킨다. 배출관내 유동박리와 캐비테이션을 완전히 없애기 위해서는 이를 방수로 내 수위 이하로 잠기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수력터빈에서의 캐비테이션과 진동을 완전히 피할 수는 없다. 특히 앞으로 실제 터빈을 사용한 실험에 의한 캐비테이션 연구가 절실하다.

○ 수력터빈 내 캐비테이션의 연구는 세계 각국에서 활발히 수행되고 있으며 자주 개최되는 유체역학, 수력기계 및 캐비테이션에 관한 국제회의에서 많은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한국기계연구원을 비롯한 연구기관, 서울대학교를 위시한 여러 대학교의 연구자들이 캐비테이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국제회의에서 발표하고 있다.
저자
Pardeep Kumar, R.P. Saini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0
권(호)
14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374~383
분석자
차*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