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디젤 생산을 위한 미세조류
- 전문가 제언
-
○ 재생에너지의 지속적인 생산이 전 세계적으로 심도 있게 논의되고 있다. 본고는 바이오디젤 생산에서 배양, 수확 그리고 제조방법을 포함한 미세조류 이용에 대하여 검토한다. 바이오디젤 생산에 이용된 미세조류 종(species) 대부분과 다른 바이오디젤 자원에 비해 주요 장점이 제시된다.
○ 미세조류는 햇빛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광합성을 통해 양질의 식물성 오일을 생산한다. 화학공정을 거쳐 분리되거나 정제된 오일들은 바이오디젤, 항공유 등의 연료로 전환이 가능하다. 특히 미세조류는 유채꽃, 사탕수수, 옥수수, 콩 등 기존 작물에 비해 번식력이 뛰어나고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 식용작물을 이용해 만드는 1세대 바이오디젤은 기존 화석연료를 대체한다는 점에서 각광받았지만 곡물가격 상승과 저소득층 식량난을 가중시킨다는 비난도 함께 받고 있다. 또 바이오디젤 원료 확보를 위해 이뤄지는 산림개발은 사막화 현상과 지구온난화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 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기술연구원은 기존 식용작물 대신 미세조류를 활용한 친환경 바이오디젤 생산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5년간 약 75억 원의 예산을 투입, 미세조류를 원료로 바이오디젤을 생산하고 부산물을 활용해 수소와 전기, 바이오플라스틱 등을 생산한다는 계획으로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 바이오디젤은 식물성 기름 등으로부터 제조 시 메탄올과의 반응으로부터 제조되므로 바이오디젤의 잔존 메탄올은 화재폭발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 바이오디젤의 인화점은 메탄올의 증가에 따라 현저히 감소한다. 바이오디젤 연료에 반응물 메탄올이 잔존하거나 또는 연료의 점성을 낮추기 위하여 첨가되는 메탄올은 바이오디젤의 인화점을 낮추어 화재폭발 위험성이 높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 저자
- Teresa M. Mata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0
- 권(호)
- 14
- 잡지명
-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17~232
- 분석자
- 마*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