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해안침식과 홍수분석

전문가 제언
○ 현재와 미래의 해안지역 침수와 침식으로 인한 토지손실(land loss)에 대비하기 위한 다단계(multi-stage) 통합 해안관리계획 수립을 심도 있게 고려해야 한다. 이는 정부, 지역, 주민의 장기계획과 관심이 필요하다. 또한 도시 성장 조정, 빌딩 규제, 도시계획 점검 등으로 해수면 상승에 따른 변화에 대한 주민, 정부, 지역사회의 대응준비 방법이다

○ 동해안에서 경북지역, 서해안의 태안반도와 신안군 일대에 해안침식 보고가 있다. 원인은 태풍, 기상 이상, 해수면 상승, 해안도로 건설, 골재 채취 등이며 사구포락, 돌망태, 돌제(groins) 등을 설치하여 해안을 복원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지역별 원인 분석이 필요하며 지형, 연안류 유동, 퇴적물 이동 등의 장기 관측?분석으로 장기 보존 방안과 지역발전 계획의 유대가 중요하다.

○ 모로코의 탠지애 해안은 항만 확장에 따른 해류변화로 해안선이 2~3m/년씩 후퇴하기 시작했다. 사질해안은 자갈로 변하여 1990년대에 관광객이 30% 이상 감소했다. 관광수입 감소로 지역경제와 산업 활동이 위축되면서 해양휴양지 보존을 인식했으나 계속적으로 투자하지 못하고 일시적 조치에 그쳤다. 2050년과 2100년에 예상할 수 있는 해안 변화는 보다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노력을 필요로 한다.
저자
M.Snoussi, T.Ouchani, A.Khouakhi, I.Niang-Diop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09
권(호)
107
잡지명
Geomorph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32~40
분석자
황*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