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장내 미생물상과 대사질환

전문가 제언
○ 사람의 창자 속에는 사람의 몸을 구성하는 세포 수의 약 10배에 해당하는 수의 미생물이 살고 있다. 이들 미생물에 의한 대사활성은 신체의 한 기관의 대사활성과 비슷한 규모이다. 전체 장내 미생물의 유전체는 사람 유전체 크기의 약 100배가량 된다.

○ 대장 미생물의 거의 대부분은 세균이며, 이 미생물 질량은 0.5~1.5㎏(체내에서 가장 큰 기관의 질량에 해당)에 달하고, 대장세균은 대변 건량의 약 60%를 차지한다. 그러나 99%의 대장세균은 대략 30~40종(species)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균류와 원생동물도 창자 미생물을 구성할 수 있지만 이들의 존재는 미미하고 그 기능은 알려진 것이 없다.

○ 장내세균과 숙주인 사람과의 관계는 단순한 공생관계뿐만이 아니라 상호 유익한 공생관계를 갖기도 한다. 장내세균은 소화 불가능 식품성분을 발효하여 숙주에게 제공하고, 숙주의 면역반응을 훈련시키며, 해로운 병원성 세균의 성장을 저해하고, 창자의 발육을 조절한다. 그러나 어떤 조건 하에서는 장내세균은 숙주에 염증을 유발하여 질병을 일으킬 수 있고 암의 위험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 대사성 질환은 대사경로의 이상으로 인하여 발병하는 대개는 유전성 질환으로 수십 가지가 있지만, 이 리뷰에서 다룬 대사성질환은 염증성 장 질환(IBD)인 대장의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 당뇨, 비만 등 주로 장내세균과 연관된 질병들이다.

○ 이들은 장내 일부 세균에 대한 숙주의 면역관용(immune tolerance)과 면역시스템의 과민반응의 결과로 나타나며 이는 대장 벽 투과성의 증가로 지질다당류(LPS) 같은 친 염증분자가 장벽을 뚫고 면역시스템에 도달하여 염증반응을 유발하는 것이다.

○ 장내세균과 관련된 대사성질환에 대한 연구는 범위가 너무 좁게 제한되어 있어 총 124편의 논문만이 있고, 국내 연구진의 연구도 경희대 약대에서 이루어진 Kalopanaxsaponin(두릅나무과 교목의 성분)의 항 당뇨활성과 장내세균과의 관계에 대한 보고가 있다.
저자
Serino, M,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09
권(호)
35
잡지명
Diabetes & Metabolism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62~272
분석자
강*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