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동력의 일광 및 태양에너지 제어를 위한 빌딩용 스마트 윈도우의 요구특성 및 필요조건

전문가 제언
○ 1970년대 발명 이후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가변유리는 그 동안 기술발전이 매우 느렸다. 수십 년에 걸쳐 유리업체들이 상업화를 위해 많은 노력이 있었지만, 아직도 스마트 윈도우 시장은 크게 형성되지 못했다. 최근 들어 빌딩의 과도한 에너지 소비에 대한 대안으로서 스마트 윈도우 시장이 새로운 변화를 갖게 되었다.

○ 현재 스마트 윈도우에 적용되는 기술은 EC(electrochromic), LC(liquid crystal), SP(suspended particle) 등이 있으며, 상기 기술들 모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응용 및 연구되는 기술들이다. 특히 EC 기술은 플렉시블 전자종이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다. 현재 기술수준으로 보면 EC 디바이스가 장시간 실외에 안정적으로 적용해야 하는 태양에너지 빌딩에 가장 적합할 것으로 예상된다.

○ 태양에너지 제어 빌딩에 사용되는 스마트 윈도우의 특징은 대면적이 필수 조건이다. 가격과 공급적인 측면에서 안정적인 대면적의 투명전극용 소재 개발이 핵심이다. 현재 가장 많이 적용되는 ITO 필름은 고가격이고 대부분의 전자기기에 적용되므로 향후 공급이 문제가 될 여지가 크다. 2009년 일본 DNP에서 개발한 인쇄방식의 투명전도성 메쉬필름과 같은 저가격 소재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 지난 90년부터 한국유리는 가변유리 시제품을 개발하여 왔으며, 미국 RFI사와 기술제휴를 맺고 SP 원천기술에 의한 스마트 유리사업을 2002년부터 진행하고 있다. 또한, 다른 업체인 디엠디스플레이는 액정과 고분자로 만든 LC 디바이스 기술에 의한 스마트 유리를 현재 생산하고 있다. 디엠디스플레이 제품의 경우는 사이즈가 최대 1200×3200㎜ 이고, ITO필름을 적용하므로 현재 가격이 높은 수준이다.

○ 향후 스마트 윈도우에 대한 국내외 연구 활동과 관련업체의 개발 추진이 매우 활발하게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업체는 향후 예상되는 글로벌 시장선점을 위해 상업화 가능성이 가장 큰 EC 기술에 의한 스마트 윈도우의 사업 검토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저자
RubenBaetens et. al.,
자료유형
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0
권(호)
94
잡지명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87~105
분석자
나*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