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차 가스/오일/물 분리기 동특성의 온라인 측정
- 전문가 제언
-
○ 액위 측정(liquid level measurement)은 저장용기, 프로세스용기, 탱크, 저장용기 및 호퍼 등에서 물리량을 측정하여 기록하고 공정제어를 위해서 필요하다. 액위 측정이 필요한 경우 유체성분이 다양한데 즉 순수에서 점성, 접착성 및 부식성 액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또한 액위 센서의 환경은 진공에서 고압까지 그리고 0℃ 이하에서 고온까지 이르기 때문에 여러 형태의 액위계가 개발되었다.
○ 현재 원유분리기 등에서 제어전략은 다상계면 액위 측정(multi-interface level measurement)방법이 마땅하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단순하다. 따라서 유 분리에서 다중계면 액위의 정확한 측정은 탄화수소 공정에서 도전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목적으로 여러 형태의 측정방법이 개발되었다. 즉 외부설치 변위기(displacer), 차압전송기, 초음파 트랜스듀서, 단일전극, 다전극 정전(capacitance)센서 및 감마선 센서 등이다.
○ 특히 원유 분리기에서 계면측정을 위해 정유공장 등 석유화학산업에서 사용되는 액위 측정방법은 고 신뢰성, 다양한 유동, 열악한 환경 및 고유안전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다양한 계면의 액위를 정확하고 신뢰성 있게 측정하기 위한 센서개발이 필요하게 된다.
○ 다상계면유동에서 액위 센서는 ① 여러 물질 즉 가스-오일, 오일-에멀션, 에멀션-물 및 오일-물과 같은 여러 상의 연면(interface)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②낮은 유지보수비 ③자정기능(self cleaning) ④본질적인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현장에 응용되어야 한다.
○ 국내의 경우 정유공장, 화학공정 플랜트 및 발전소 등에 액위 측정을 위해 다양한 액위 측정시스템이 채택되고 있다. 특히 국내의 정유공장은 1960년대 및 ‘80년대에 설치되어 공정제어 계통은 대부분 재래식 타입으로 해외기술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공정효율 및 제품의 품질향상을 위한 새로운 측정방법이 요구되는데 최근에 개발된 ECT(Electrical Capacitance Tomography)가 오일분리기 감시 및 제어에 매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비침습성 등 장점도 있지만 높은 비용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 저자
- Artur J. Jaworski, Guangtian Meng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전기·전자
- 연도
- 2009
- 권(호)
- 68
- 잡지명
- Journal of Petroleum Science and Engineer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전기·전자
- 페이지
- 47~59
- 분석자
- 박*준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