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 의 기초 우주기술 주도에 대한 제안
- 전문가 제언
-
○ 우주 응용은 순수한 우주과학이라고 할 수 있는 천문학, 천체물리, 항성 연구, 우주 기상 등에 관한 것과 응용 기술이라고 볼 수 있는 원격 측정, 지형 정보, 운항(navigation) 등에 관한 것들이 있다.
○ 이러한 분야를 연구 개발하기 위해서는 인공위성을 사용하여야 하고 이 인공위성 개발에는 다양한 분야의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다. 즉 추진 발사체 기술, 구조 기술, 열, 자세제어, 탑재물 등 각 분야의 기술이 총망라되고 있으며 UNBSTI 항목으로 선정하고 있다.
○ 1950년대 후반 인공위성 발사 후 개발도상국에서 우주기술에 대한 능력 제고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UN 산하에 우주에 대한 평화적 사용 위원회가 있어 분쟁을 사전에 막고 있음을 알고 있다. UNOOSA에서는 우주 응용과 우주 기초기술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우리나라에서는 1982년 우리별 1호를 발사한 것을 시작으로 인공위성 보유국이 되었다. 그러나 많은 기술이 해외에 의존하고 있으며 특히 발사체 부문은 아직도 많은 문제를 해결하여야 하는 과제이다. 현재 국가적 관심사로 항공우주연구원에서 추진 중인 ‘나로 호’도 러시아와의 기술 협력을 받아 추진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 2009년 우리나라 대전에서 BSS(Basic Space Science) IHY 2007이 UN/ESA/NASA/JAXA가 공동으로 주최하였다. 공동 주최기관이 프랑스, 미국, 일본 등 세계 굴지의 우주 발사 기관들이다. 그러나 이 회합은 천문학 전공교수나 연구원들의 모임으로만 되어 있었고, 발사체 관련자들의 참여가 없었던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 2009년 후반에 UNBSTI에 대한 첫 워크숍을 하고 우주 관련 기초기술을 주도하는 것으로 발전해 나갈 것이 확실해 보인다. 우리나라도 UNBSTI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협력을 통한 부족한 기술을 획득하고, 나아가 미래의 잠재적 기술 수출국으로서의 위치를 차지하는 좋은 장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Werner R. et al
- 자료유형
- 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09
- 권(호)
- 43
- 잡지명
- Advances in Space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847~1853
- 분석자
- 이*호
- 분석물
-